제조업체 근로자 55%가 전직 바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제조업체 근로자의 절반 이상이 전직할 의사를 갖고 있어 인력난을
가중시키는 주요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한국노동연구원의 선한승연구위원은 20일 오후 서울 여의도에 있는
연구원 대회의실에서 열린 `노동자 의식구조에 관한 토론회''에서
`현장근로자의 의식성향분석'' 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우리나라 근로자의
의식구조중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전직성향이 높다는 점"이라며
이같은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선연구위원이 지난 8월 제조업체 근로자 2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55%가 전직의사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직은 생각할 수 없다''는 근로자의 비중은 22.5%에
불과했다.
전직의사를 갖게 된 이유로는 임금수준에 대한 불만이 29.8%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승진기회 불만(15.2%), 복지시설 미비(14.1%), 적성이
맞지 않고 흥미 없음(13 4%), 회사분위기 경직(12.7%) 등의 순이었다.
또한 제조업체 근로자의 50.3%는 자신의 일을 단조롭고 지루하다고
보고 있으며 이에따라 자신의 직업을 천직으로 생각하지 않고(48.7%)
기회만 있으면 사표 쓸 준비가 돼 있는 근로자가 24.6%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위원은 "대부분의 근로자가 자신이 맡을 업무에 대해 잘 모르는
상태에서 입사한 후 업무,작업환경,근로조건 등에 실망해 이직을
고려하고 이때문에 회사에 대한 귀속감도 떨어지고 있다"고 분석하고
"이직요인은 채용전에 충분한 정보교환을 통해 어느정도 피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선위원은 이와함께 우리나나 근로자들은 대체로 업무에 대한 재량권이
낮고 수동적으로 처리해 책임성이 결여돼 있을 뿐만 아니라 창의력을
발휘할 수 없으며 회사 체류시간이 길수록 낭비하는 시간이 많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고 지적했다.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근로자의 일상업무를 수행하는데 반드시
상급자의 의견을 듣고 처리한다''는 근로자가 46.3%, `상급자가 지시한
업무만 수행한다''는 근로자가 14.9%에 이르는 등 전체의 61.2%가 위에서의
지시에 따라 수동적으로 일을 처리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회사체류 시간대별로 보아 8-10시간 체류하는 데는 하루 평균
1시간19분,10- 12시간 체류에는 1시간32분, 12-15시간에는 2시간32분,
15시간이상 체류에는 3시간15분이나 낭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현재
추진되고 있는 30분 일 더하기 운동이 생산성 향상과 연결되기 위해서는
작업시간의 낭비적 요소를 없애는 노력이 함께 추진돼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밖에 물가인상에 대해 근로자의 가장 많은 40%가 정부의 물가정책
실패를, 33.8%가 부동산투기 등 물가불안심리를, 11.6%가 유통구조문제를,
9%가 기업의 독점 및 담합행위를 그 원인으로 들었으며 과도한
임금상승으로 지적한 근로자는 5.6%에 불과했다.
가중시키는 주요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한국노동연구원의 선한승연구위원은 20일 오후 서울 여의도에 있는
연구원 대회의실에서 열린 `노동자 의식구조에 관한 토론회''에서
`현장근로자의 의식성향분석'' 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우리나라 근로자의
의식구조중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전직성향이 높다는 점"이라며
이같은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선연구위원이 지난 8월 제조업체 근로자 2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55%가 전직의사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직은 생각할 수 없다''는 근로자의 비중은 22.5%에
불과했다.
전직의사를 갖게 된 이유로는 임금수준에 대한 불만이 29.8%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승진기회 불만(15.2%), 복지시설 미비(14.1%), 적성이
맞지 않고 흥미 없음(13 4%), 회사분위기 경직(12.7%) 등의 순이었다.
또한 제조업체 근로자의 50.3%는 자신의 일을 단조롭고 지루하다고
보고 있으며 이에따라 자신의 직업을 천직으로 생각하지 않고(48.7%)
기회만 있으면 사표 쓸 준비가 돼 있는 근로자가 24.6%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위원은 "대부분의 근로자가 자신이 맡을 업무에 대해 잘 모르는
상태에서 입사한 후 업무,작업환경,근로조건 등에 실망해 이직을
고려하고 이때문에 회사에 대한 귀속감도 떨어지고 있다"고 분석하고
"이직요인은 채용전에 충분한 정보교환을 통해 어느정도 피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선위원은 이와함께 우리나나 근로자들은 대체로 업무에 대한 재량권이
낮고 수동적으로 처리해 책임성이 결여돼 있을 뿐만 아니라 창의력을
발휘할 수 없으며 회사 체류시간이 길수록 낭비하는 시간이 많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고 지적했다.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근로자의 일상업무를 수행하는데 반드시
상급자의 의견을 듣고 처리한다''는 근로자가 46.3%, `상급자가 지시한
업무만 수행한다''는 근로자가 14.9%에 이르는 등 전체의 61.2%가 위에서의
지시에 따라 수동적으로 일을 처리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회사체류 시간대별로 보아 8-10시간 체류하는 데는 하루 평균
1시간19분,10- 12시간 체류에는 1시간32분, 12-15시간에는 2시간32분,
15시간이상 체류에는 3시간15분이나 낭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현재
추진되고 있는 30분 일 더하기 운동이 생산성 향상과 연결되기 위해서는
작업시간의 낭비적 요소를 없애는 노력이 함께 추진돼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밖에 물가인상에 대해 근로자의 가장 많은 40%가 정부의 물가정책
실패를, 33.8%가 부동산투기 등 물가불안심리를, 11.6%가 유통구조문제를,
9%가 기업의 독점 및 담합행위를 그 원인으로 들었으며 과도한
임금상승으로 지적한 근로자는 5.6%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