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직업훈련원과 기업체 사내 직업훈련원의 교육과정이 내년부터 오는
96년까지 단계적으로 산학협동훈련체제로 전면 전환된다.
25일 노동부에 따르면 이같은 방침은 현행 이론 위주의
집체훈련방식을 탈피, 직업훈련과 산업현장을 상호 연계함으로써
산업현장에 대한 적응력을 키우고 산업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직업훈련원의 교육과정이 산학협동훈련체제로 바뀌면 훈련생들이 1년
또는 2년의 직업훈련 과정 가운데 절반은 공공훈련원에서 집체식
이론교육 및 응용훈련을 받고 나머지 절반은 곧바로 기업체의 생산라인에
투입돼 현장실습 훈련을 받게 된다.
노동부 관계자는 "산학협동훈련체제에서는 훈련생들이 집체훈련 수료와
동시에 산업현장에 조기 투입돼 실습훈련을 받기 때문에 인력공급을
확대하는 효과가 있고 현장의 시설장비를 활용하게 되므로 신기술 도입에
따른 현장 적응능력을 높이는 것 은 물론 훈련경비도 절감할 수 있다"고
말했다.
노동부는 또 훈련생들이 기업체로부터 공공훈련원에서는 지급되지 않는
훈련비를 평균 20만원정도 지급 받게 된다고 밝혔다.
*** 직훈, 96년까지 산학협동체제로 전면전환 ***
노동부는 96년까지 산학협동훈련이 전면 실시될 경우 절반의
교육기간이 산업현장에서 이루어져 기존 직업훈련기관의 수용능력이
현재보다 2배 늘어난 12만7천여명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노동부는 올해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산하 훈련공과에 3천3백75명을
시범적으로 산학협동훈련과정으로 모집해 직업훈련을 실시하고 있는데 1년
과정의 경우 6개월간의 집체훈련을 수료한 4백26명중 4백21명이 현재 73개
기업체에 배정돼 현장훈련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