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민주질서를 정착시키기위한 각종 선거의 공명정대한 관리,
경제안정및 활력의 회복을 내년도 국정의 최우선과제로 삼아 이를 강력히
추진키로 했다.
정부는 26일 오전 청와대에서 노태우대통령주재로 정원식총리를 비롯한
전국무위원과 청와대수석비서관들이 참석한 가운데 <91년 주요정책평가와
92년 중점추진과 제보고회>를 갖고 6공화국 출범이후 4년간의
국정운영성과와 올해의 주요정책 추진 실적을 종합평가한뒤 내년도에
추진할 5개중점과제를 확정했다.
이날 마련한 5개과제에는 공정한 선거관리와 경제안정.회복이외에도
행정쇄신과 공직기강확립 <>한반도 평화정착과 남북교류및 협력의 증진
<>대통령공약을 포함한 기존 역점사업의 착실한 마무리등도 포함돼있다.
정부는 대통령공약사업을 포함한 기존역점사업의 마무리에 총력을
기울이기위해 대통령주재의 경제동향보고및 정책점검회의를 확대하고
현장확인감독을 실시하는 한편 재정의 긴축운영을 위한 <10%줄이기운동>과
<새질서.새생활운동>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이날 보고회에서 총리실은 내년도에는 각종선거의 실시로 각계의
욕구가 분출, 사회기강해이등의 부작용이 우려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와함께 우루과이라운드(UR)협상에 따른 시장개방의 압력과
EC통합등으로 인한 지역경제주의의 심화가 개발도상국들에게 본격적인
충격을 가하기 시작, 국 제수지적자와 물가불안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등 경제상황이 더욱 악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는 소련방의 붕괴로 미국을 중심으로 새로운 세계질서가 재편되고
남북의 화해에 의한 한반도평화정착의 기운이 성숙되는등 국제질서의
급속한 변화에도 능동적으로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이날 보고회에서 올해 추진한 주요정책 가운데 산업평화분위기를
조성하고 부동산가격을 안정시킨 점은 비교적 성과를 이룬 것으로
평가됐으나 체감치안이 여전히 불안하고 경제전망에 대한 국민의 우려가
높아진 점및 농업의 장래에 대한 농민불안 을 해소하지못한 점등이
미흡했던 것으로 지적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