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정부는 지금까지 자주 개발노선을 원칙으로 해온 국내 석유자원
개발정책을 변경, 앞으로 합작 투자사업등의 형태로 외국자본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일본의 닛케이신문이 8일
보도했다.
닛케이 신문은 이날 일본정부 및 석유업계 소식통을 인용,이같이
전하고 중국측은 이미 일본석유공단등에 석유개발을 위한 자신들의
입장을 전달했다고 말했다.
닛케이는 중국이 ''타림''분지등 내륙을 중심으로 이란 석유매장량의
약 4분의 1이나 되는 2백40억배럴의 원유가 있는 사실을 확인하고도
유전개발자금의 부족과 생산시설의 노후등으로 지난 10년만에 원유
생산량이 현저하게 줄어들고 있다고 밝히고 이 때문에 외국자본을
적극적으로 도입해 원유생산을 촉진하려 하고 있는것 같다고
지적했다.
한편 닛케이에 따르면 지금까지 중국의 원유개발에 관한한 유전개발
자금의 융자 유전개발의 전단계인 ''타림''분지의 지질구조 조사등
''간접참여''에만 머물렀던 일본의 석유공단을 비롯한 석유회사들이
중국정부의 석유개발정책 수정에 상당한 기대를 걸고 있다.
일본은 민간차원에서 석유회사와 전력회사등이 공동으로 구성한
''일중 장기무역협의회''(가맹 약 1백90사) 석유전문가 위원회를 중심
으로 2년전부터 중국에 조사단을 파견, 타림분지등을 조사하고 있으며,
중국은 미쓰비시상사등에 서부지역 ''톨판''분지의 유전개발을 위해 약
1억달러의 융자를 해달라는 요청을 하고 있는 것이 최근 두나라 석유
협력 관계의 주요 내용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중국은 주변 해역과 양자강 이남의 광동성, 운남성등 ''남부
11개성''의 석유개발에 한해서만 예외적으로 외국 기업의 참여를 통한
광구개발을 인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