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90년대 후반에 들어가면 폐선물량이 엄청나게 늘어날 것으로 보여
폐선을 고철로 분해하는 선박해체산업을 지금부터 육성해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선박해체산업은 또 많은 인력과 해안의 선박해체장 확보를 필수로 하고
있어 유망한 남북합작사업의 한 분야로 꼽히고 있다.
19일 해운항만청 및 해운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오는 3월 영국 런던에서
열릴 예정인 제32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 회의에서 바다의
기름오염을 막기 위해 낡은 유조선은 일정 선령이 넘어설 경우 강제
폐선시키기로 결정할 것이 확실해 90년대 후반에는 해체대상 선박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선박해체물량은 지난 89년에는 3백38만t, 지난 90년에는 2백65만t에
불과했으나 오는 95년에는 8백65만t, 오는 96년에는 1천6백55만t, 그리고
오는 99년에는 무려 9천2백60만t으로 확대될 것으로 분석되고있다.
폐선물량이 이처럼 많아지면 폐선의 가격도 크게 떨어져 현재 인건비
부담때문에 고전을 하고 있는 선박해체업은 큰 재미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일본은 이같은 폐선 물량의 대거 출현에 대비, 이미 해운업계와
조선업계가 민간차원에서 선박해체촉진위원회를 구성해 장.단기 대책을
마련하는 등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일본은 방글라데시나 파키스탄 등 인건비가 싼 동남아지역에 진출,
벌써부터 이곳에 선박해체장을 여러 곳 확보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최소의 비용을 들여 선박을 해체하는 신기술의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폐선물량이 오는 95년 이후 급격히 늘어날 겻을 생각할 때
북한과의 합작으로 북한 해안에 작업장을 확보, 해체산업을 키운다면 특히
효과적일 것이라고 제시하고 해체산업에 관심을 갖고 있는 중국과 공동으로
중국해안지역에 투자하는 방안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