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양국은 오는 4일 서울에 오는 제임스 릴리 미국방부 국제안보 담당
차관보등 미행정부 인사들의 방한을 계기로 북한 핵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
적인 공동대응책을 논의할 방침이다.
양국은 릴리차관보의 방한을 계기로 이상옥외무장관등 우리정부
고위관계자들과 요담을 갖고 북한 핵시설 조기사찰을 위한 구체적인
공동대처 방안을 논의하되 특히 북한이 핵재처리시설을 완공할 것으로
예상되는 6월까지도 사찰을 수용하지 않을 경 우 유엔 안보리를 통한
강제사찰과 경제제재등 강력한 수단을 동원하는 문제에 대해 서도 중점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관계자들은 1일 "미국 정부는 릴리차관보의 방한은 물론 뒤이어
내한할 리 처드 솔로몬 국무부 동아.태차관보를 통해 북한핵문제와 관련한
모종의 극비 정보와 이에따른 대응측을 전달해 올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미양국 정부가 이같이 북한핵문제에 대해 집중 논의하는것은 3일
핵통제공동 위 구성을 위한 대표접촉을 비롯, 9일 정치분과위, 13일
군사분과위등에서 남북한사 이에 핵문제에 대한 일련의 접촉이 예정돼있기
때문인것으로 미국 정부측은 상당히 구체적인 입장을 전달할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측은 특히 북한이 핵사찰을 지연시키면서 한편으로는 핵사찰에
대비해 영변 에 있는 핵시설을 은폐하기 위해 다른 장소로 옮기는등 북한의
최근 움직임에 민감 한 반응을 보이고 있는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고위당국자는 이와관련 "현재 한미 양국은 북한핵문제에 대한
분명한 해 결이 경협등 남북합의서의 이행에 앞서 절대 우선돼야한다는데
인식을 완전히 같이 하고 있다"면서 "우선 핵통제공동위를 통한 남북한
핵사찰과 국제핵사찰을 위해 압 력과 협상을 병행하되 북한이
핵재처리시설을 완공할 것으로 보이는 6월까지도 사찰 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유엔안보리를 통한 강제사찰과 경제제재등 강력한 수단을 동원하는
문제가 중점 논의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또한 4일 최호중부총리겸 통일원장관주재로 통일관계장관회의를
열어 남 북합의서 이행문제를 논의할 예정인데 핵문제와 이산가족문제를
최우선과제로 정해 해결한다는 방침을 거듭 확인하게 될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정부는 분과위 구성과 관련, 우리측 정치분과위원장에
이동복총리특별보좌 관, 군사분과위원장에 송응섭합참 제1차장,
교류협력분과위원장에 임동원통일원차관 , 그리고 핵통제공동위원장에는
공노명외교안보연구원장을 각각 내정한 것으로 전해졌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