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오존층 보호를 위해 세계각국들이 CFC(일명
프레온가스)대체물질개발에 적극나서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대체물질 개발은
커녕 CFC규제이후의 대응책마저 세우지못하고있다.
10일 환경처와 관련업체에 따르면 CFC사용규제를 위한 몬트리올협약이
오는5월27일부터 발효되나 우리나라는 지난해말 뒤늦게 대체물질개발에
착수,아직 초기단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로인해 CFC를 사용하고있는 국내 1천4백여업체는 비싼 로열티와
기술지도료등을 지불하면서 외국으로부터 수입해서 써야할 형편이다.
더욱이 외국으로부터 수입해쓸 이 대체물질을 다룰수 있는 기술마저
제대로 갖추지못하고 있어 외국기술자까지 데려다 써야할 실정이다.
현재 대체물질 응용기술개발에 나서고있는 정부기관은 상공부산하
생산기술연구원 한곳뿐인데 연구비가 전혀 확보돼 있지않아 기술개발에
손도 대지못하고 있다.
또 삼성전자 금성사 경원세기 만도기계 울산화학등 국내 가전 냉동공조
화공업계에서도 지난90년부터 자체기술개발에 나서고 있지만 예산부족과
기초기술 낙후등으로 개발전망이 불투명하다.
생산기술연구원의 오명도수석연구원은 "선진국의 경우 범정부차원에서
CFC대체물질뿐만아니라 이의 이용기술개발에 나서 이미 실용화 상태에있는
단계"라며 "우리나라는 상공부등 관계부처가 이를 외면,연구비를 전혀
지원하지않아 기술개발에 어려움을 겪고있다"고 말했다.
현재 냉장고 정밀기기 에어컨 자동차등 CFC사용제품의 국내시장 규모는
연간 4조 5조원에 이르고 있는데 사용이 규제되면 이들제품생산에 큰차질을
빚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