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지역,미국 제치고 우리나라 최대시장으로 부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국제수지 동향"에 따르면 3월중 동남아에
대한 수출은 14억6천만달러(국제수지기준)로 미국에 대한 수출 14억4천
만달러를 제치고 우리나라 제1의 시장으로 떠올랐다.
동남아에 대한 수출은 1월중 12억1천만달러로 미국의 13억달러에
비해 9천만달러가 적었고 2월중에는 동남아에 대한 수출이 11억8천만
달러로 미국의 12억1천만달러보다 4천만달러 적었으나 3월중 2천만
달러가 많았다.
수출입차에서도 동남아지역만이 6억9천만달러의 흑자를 기록했을뿐
미국(1억5천만달러),일본(7억1천만달러),EC(4천만달러),북방지역(9천만
달러)은 모두 적자를 나타냈다.
3월중 수출을 지역별로 보면 대일본은 9억9천만달러,대유럽공동체
(EC)는 8억5천만달러,대북방은 2억9천만달러로 나타났다.
한편 수출증가세는 확대되고 수입증가세는 둔화된데 힘입어 3월중
경상수지 적자폭은 8억8천만달러를 기록,지난해 동월(12억1천만
달러)이나 전달 (9억8천만 달러)보다 상당히 개선됐다.
이로써 올해 1.4분기중 경상수지 적자폭은 32억2천만달러로
전년동기의 37억3천만달러보다 5억1천만달러가 줄어들었다.
3월중 경상수지를 내역별로 보면 무역수지적자는 5억5천만달러
(국제수지기준)로 전년동월의 9억달러보다 크게 개선됐으나
무역외수지적자는 3억2천만달러로 전년동월의 2억3천만달러보다
악화됐다.
또 이전수지적자는 7백만달러로 전년동월의 7천8백만 달러보다
크게 개선됐다.
무역외수지적자폭이 늘어난것은 차관등에 대한 이자지급,
기술용역대가 지급 및 운수관련 경비지급의 증가 때문이다.
3월중 수출은 단가가 하락했으나 물량이 크게 늘어 금액기준으로
12.4%의 증가세를 보였으며 수입은 단가가 이보다 큰폭으로 내린
데다 물량증가가 수출의 그것에 미치지못해 금액기준으로 5.4% 증가
하는데 그쳤다.
수출을 품목별로 보면 신발류,완구등이 전달에 이어 경쟁력약화로
부진을 면치 못했으나 선박,화공품,자동차등의 수출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지역별로는 대일본(-5.6%)수출은 감소했고 대미국(1%),대EC(유럽
공동체)(3.6%),대동남아(34.8%),대북방(51.6%)은 증가세를 보였다.
수입을 품목별로 보면 원유,석유제품,화공품등 원유관련제품이
단가하락으로 감소한 반면 전자제품,기계류등 자본재는 증가했다.
대한 수출은 14억6천만달러(국제수지기준)로 미국에 대한 수출 14억4천
만달러를 제치고 우리나라 제1의 시장으로 떠올랐다.
동남아에 대한 수출은 1월중 12억1천만달러로 미국의 13억달러에
비해 9천만달러가 적었고 2월중에는 동남아에 대한 수출이 11억8천만
달러로 미국의 12억1천만달러보다 4천만달러 적었으나 3월중 2천만
달러가 많았다.
수출입차에서도 동남아지역만이 6억9천만달러의 흑자를 기록했을뿐
미국(1억5천만달러),일본(7억1천만달러),EC(4천만달러),북방지역(9천만
달러)은 모두 적자를 나타냈다.
3월중 수출을 지역별로 보면 대일본은 9억9천만달러,대유럽공동체
(EC)는 8억5천만달러,대북방은 2억9천만달러로 나타났다.
한편 수출증가세는 확대되고 수입증가세는 둔화된데 힘입어 3월중
경상수지 적자폭은 8억8천만달러를 기록,지난해 동월(12억1천만
달러)이나 전달 (9억8천만 달러)보다 상당히 개선됐다.
이로써 올해 1.4분기중 경상수지 적자폭은 32억2천만달러로
전년동기의 37억3천만달러보다 5억1천만달러가 줄어들었다.
3월중 경상수지를 내역별로 보면 무역수지적자는 5억5천만달러
(국제수지기준)로 전년동월의 9억달러보다 크게 개선됐으나
무역외수지적자는 3억2천만달러로 전년동월의 2억3천만달러보다
악화됐다.
또 이전수지적자는 7백만달러로 전년동월의 7천8백만 달러보다
크게 개선됐다.
무역외수지적자폭이 늘어난것은 차관등에 대한 이자지급,
기술용역대가 지급 및 운수관련 경비지급의 증가 때문이다.
3월중 수출은 단가가 하락했으나 물량이 크게 늘어 금액기준으로
12.4%의 증가세를 보였으며 수입은 단가가 이보다 큰폭으로 내린
데다 물량증가가 수출의 그것에 미치지못해 금액기준으로 5.4% 증가
하는데 그쳤다.
수출을 품목별로 보면 신발류,완구등이 전달에 이어 경쟁력약화로
부진을 면치 못했으나 선박,화공품,자동차등의 수출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지역별로는 대일본(-5.6%)수출은 감소했고 대미국(1%),대EC(유럽
공동체)(3.6%),대동남아(34.8%),대북방(51.6%)은 증가세를 보였다.
수입을 품목별로 보면 원유,석유제품,화공품등 원유관련제품이
단가하락으로 감소한 반면 전자제품,기계류등 자본재는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