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의 감량경영이 확산되고 있다. 신규투자억제 감원 신규채용축소
생산라인감축 재고처분등이 주요내용이다. 불황기나 산업구조조정기에
있을수 있는 일이다. 경영합리화 운동이거나 산업구조고도화에의 대응일수
있다. 어떤 의미에서건 기업들이 살아남기 위한 자구노력임엔 틀림없다.
문제는 이것이 앞으로 경제활력을 재충전하는 산업구조고도화와
연결되느냐,아니면 성장잠재력을 잃게 되는 산업위축쪽으로 가느냐에 달려
있다.
기업들에 종전과 같은 왕성한 의욕이 없다는 것은 사실이다. 올들어
설비투자가 위축된 것이 이를 뒷받침한다. 상공부조사에 따르면 1.4분기중
설비용 기계류를 생산하는 대규모 186개업체가 국내외로부터 수주한
기계류는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2.2%가 줄어들었다.
기계류수입허가액은 전년동기대비 무려 46%나 감소했다. 이같은 수치는
성장잠재력이 위축되고 있는 현상이라고 풀이해도 무방할 것이다.
기계류수입의 격감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느냐도 문제이다. 국산기계의
대체라면 더없이 반가운 일이다. 그런데 국산기계류 메이커의 수주도
줄어든 것을 보면 그같은 해석은 무리이다. 외국산 기계류수입은 대체로
산업고도화,시설현대화및 자동화와 연관되어 있다. 그러므로
외국산기계류에 대한 발주감소는 산업구조조정이 뜻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국제수지개선,물가진정,내수안정등 거시경제지표는 호전조짐을
보이고있다. 이런 속에서 기업들의 감양경영이 늘어나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경제체질이 건전해지는 쪽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좋게 볼수있는 면이
있다. 그러나 한편에선 경제위축이 일시적으로 지표호전쪽으로 나타난
것이라고 볼수도 있다. 두가지 견해중 어떤쪽으로 보느냐에 따라
경제정책도 달라질수 있다.
중요한것은 지표가 아니라 경제실상이다. 정부는 지표에만 희망을 걸고
지표에 매달린 정책을 펴고 있는 느낌이다. 만일 지표와는 달리
경제실상은 위축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면 우리경제는 앞으로 큰
시련을 맞게 될 것이다. 경제현실을 보는 시각을 빨리 정립해야한다.
정부도 요즘 중소기업지원,첨단산업투자촉진책등 경제현실에 보다 적극적
접근을 꾀하는것 같다. 이를 위해 재계와의 접촉도 늘리려고 하고 있다.
이 기회에 기업들의 현황을 철저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감양경영이
경제위축의 반영이라면 과감한 대응책을 서둘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