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경협이 본격화될 경우 남북합작공단의 후보지로는 남포를 비롯해 해주
장단 철원 원산등 5개지역이 검토되고 있다.
22일 관계당국에 따르면 남북합작공단은 30만-1백만평규모로 각 지역의
전력사정 용수 교통시설등 사회간접시설에 따라 규모를 결정하고 휴전선
인근지역에는 경공업, 북부지역에는 중화학업종을 중심으로 추진하는 방안
이 검토되고 있다.
이들 합작공단에는 남한측 기업들의 투자위험을 최소화하기위해 투자금액
50만달러이하인 소규모 생필품 제조업종을 중심으로 합작을 추진하고 기업
들의 과당경쟁을 막기위해 업종별로 3개업체가 컨소시엄을 형성해 참여토록
하는 것등을 기본계획으로 하고있다. 이들지역의 공단에는 세관을 비롯해
북한지역 근로자들의 직업훈련을 위한 별도시설등의 설치도 계획되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