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 서로간에 연관관계를 갖고있다. A산업의 생산이 늘어나면 그
산업에 필요한 부품을 공급하는 B산업의 생산도 증가하는등 거미줄처럼
연결되어있다.

이중 A산업의 생산증가가 곧바로 B산업의 생산증가로 이어지는 것을
직접생산유발효과라 한다. 반면 A산업의 생산증가가 C라는 다른 산업을
거쳐 B산업의 증가로 이어지는 것이 간접생산유발효과이다.
생산유발효과중 간접생산유발효과의 비중을 생산우회도라 한다.

예컨대 식음료산업의 하나인 맥주생산이 늘면 원료인 밀을 생산하는
농업과 깡통을 공급하는 금속산업이 증가하게되는데 이는
직접생산유발효과이다. 반면 이과정에서 밀생산을 늘리기위해 경운기를

많이 쓰게되면 경운기를 만드는 농기계산업의 증가효과도 거둘수 있는데
이를 간접생산유발효과라 부른다.

간접생산유발효과의 비중인 생산우회도가 높을수록 산업간의 연관관계가
깊어 산업구조가 고도화되고 전문화되어 있다고 할수있다. 한은이
지난85년 한일양국의 생산우회도를 처음으로 계량분석한 결과 한국제조업은
28%로 일본의 33%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