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업계, 내년 수출에 물량 11%잡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내년 철강재수출목표는 물량으로는 1,000만톤 금액으로는
53억5,000만달러로 사상 최고수준에 달할 전망이다.
24일 철강협회가 각회원사를 대상으로 조사한데 따르면 철강업체들은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내수증가율이 생산증가율에도 못미칠 정도로
부진할것으로 예상,수출목표를 올해보다 물량으로는 11. 6% 금액으로는 2.
9%이상 늘려잡을 방침이다.
품목별로는 올4.4분기부터 대중수출이 급증한 철근은 내년에도 계속
호조를 보일것이란 전망아래 올해보다 128. 8% 늘어난 3억200만달러어치를
수출할 계획이다.
지난해 미국의 반덤핑제소로 올해 수출이 전년대비 12%가량 줄었던 강관도
최종판정결과 덤핑마진율이 상대국에 비해 유리하게 매겨져 93년에는
4억5,000만달러까지 회복될 전망이다.
올해 인도 호주등의 해양철구조물수주로 수출실적이 지난해보다
84.2%늘었던 철구조물은 내년에도 수출이 호조를 보여 5억달러에
달할것으로 예상됐다.
와이어로프역시 최대수출국인 미국의 반덤핑 예비판정결과 덤핑마진율이
경쟁국보다 낮게(0. 66~0. 99%)나타나 수출이 올해보다 회복된
5억300백달러에 이를것으로 보인다.
반면 올해 대중수출급증으로 수출이 호조를 보인 냉연및 아연도강판
핫코일등 판재류는 대중수출및 대동남아시아수출이 다소 늘것으로
예상되지만 대미수출이 미국의 반덤핑제소로 큰 차질을 빚을 전망이어서
올해보다 각각 2.4% 0. 3%정도의 소폭증가가 예상된다.
올해 큰 폭의 수출증가를 기록했던 형강은 최대수요국인 대만과
국교단절로 내년에는 올해수준(물량기준 약18만 )도 달성하기 어려울것으로
전망됐다.
한편 올해의 철강재수출은 금액기준으로는 지난해보다 15. 3%늘어난
52억달러에 달하고 수입은 전년대비 22. 8%줄어든 42억달러로
약10억달러의 무역흑자가 예상된다.
그러나 올해의 수출급증은 국내생산능력이 전년대비 6. 9%늘어난 반면
내수는 기계 가전 건설등 수요업종의 침체로 전년대비 0. 9%감소함에따라
공급과잉물량을 밀어내기수출한 것으로 채산성은 오히려 악화된 것으로
분석되고있다. 철강재수출은 물량기준으로 전년대비 18. 8% 늘었으나
금액증가율은 15. 3%에 그치고있다.
내년에도 국제철강시황침체로 채산성없는 수출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53억5,000만달러로 사상 최고수준에 달할 전망이다.
24일 철강협회가 각회원사를 대상으로 조사한데 따르면 철강업체들은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내수증가율이 생산증가율에도 못미칠 정도로
부진할것으로 예상,수출목표를 올해보다 물량으로는 11. 6% 금액으로는 2.
9%이상 늘려잡을 방침이다.
품목별로는 올4.4분기부터 대중수출이 급증한 철근은 내년에도 계속
호조를 보일것이란 전망아래 올해보다 128. 8% 늘어난 3억200만달러어치를
수출할 계획이다.
지난해 미국의 반덤핑제소로 올해 수출이 전년대비 12%가량 줄었던 강관도
최종판정결과 덤핑마진율이 상대국에 비해 유리하게 매겨져 93년에는
4억5,000만달러까지 회복될 전망이다.
올해 인도 호주등의 해양철구조물수주로 수출실적이 지난해보다
84.2%늘었던 철구조물은 내년에도 수출이 호조를 보여 5억달러에
달할것으로 예상됐다.
와이어로프역시 최대수출국인 미국의 반덤핑 예비판정결과 덤핑마진율이
경쟁국보다 낮게(0. 66~0. 99%)나타나 수출이 올해보다 회복된
5억300백달러에 이를것으로 보인다.
반면 올해 대중수출급증으로 수출이 호조를 보인 냉연및 아연도강판
핫코일등 판재류는 대중수출및 대동남아시아수출이 다소 늘것으로
예상되지만 대미수출이 미국의 반덤핑제소로 큰 차질을 빚을 전망이어서
올해보다 각각 2.4% 0. 3%정도의 소폭증가가 예상된다.
올해 큰 폭의 수출증가를 기록했던 형강은 최대수요국인 대만과
국교단절로 내년에는 올해수준(물량기준 약18만 )도 달성하기 어려울것으로
전망됐다.
한편 올해의 철강재수출은 금액기준으로는 지난해보다 15. 3%늘어난
52억달러에 달하고 수입은 전년대비 22. 8%줄어든 42억달러로
약10억달러의 무역흑자가 예상된다.
그러나 올해의 수출급증은 국내생산능력이 전년대비 6. 9%늘어난 반면
내수는 기계 가전 건설등 수요업종의 침체로 전년대비 0. 9%감소함에따라
공급과잉물량을 밀어내기수출한 것으로 채산성은 오히려 악화된 것으로
분석되고있다. 철강재수출은 물량기준으로 전년대비 18. 8% 늘었으나
금액증가율은 15. 3%에 그치고있다.
내년에도 국제철강시황침체로 채산성없는 수출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