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최완수특파원]미국은 일본을 비롯한 무역상대국들의 불공정행위를
막기위해 강력한 제재조치를 취한 준비를 해놓고 있다고 존브라운 미상무
장관이 2일 밝혔다. 그러나 미반도체업계는 대일보복조치를 주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주목되고있다.

브라운장관은 이날 미반도체산업 협회에서 행한 연설을 통해 이같이
밝히면서"몇전전 미반도체산업은 극동에서의 불공정무역관행으로 인해 거의
고사할뻔 했으며 일본의 덤핑행위를 저지키 위해 강력한 조치를 취한바
있다. 우리는 일본등의 시장에 다시 이같은 보복조치를 취할 준비를
갖추어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일본을 제외한 모든 해외시장에서 미국상품이 선호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때 대일교역에 있어서는 불공정무역장벽이 있다고 볼수밖에
없으며 일본은 양국간의 반도체시장 개방에 관한 협정을 준수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미반도체업계는 행정부의 강력한 보복태세와는 달리 일본에 대한
무역보복조치를 정부에 요구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지가 이날
보도했다.

미반도체업계는 일본내 외국산반도체점유율이 약속된 수준에는
미달되더라도 꾸준히 올라가고 있다고 지적,이같은 입장을 밝혔다.

일본은 90년 미국과 체결한 반도체협정에 따라 92년말까지 일본내
반도체시장의 20%를 외국생산자들에게 개방키로 했으나 실제로는 91년말의
14%에서 약간 높아진 16%선에 그친것으로 알려졌다.

미반도체업계는 무역보복조치대신 일본정부가 가전 자동차 통신장비관련
업계에 미국산 반도체칩을 더 많이 사용토록 압력을 행사해 줄것을
미의회와 행정부가 요청해 주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