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음대재학생과 수험생및 학부모들은 현행 입시제도와 음대 교과과정등
음대교육전반에 대해 불만족스럽게 생각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음악대학장협의회가 서울대부설 인구문제연구소및 서양음악연구
소에 의뢰해 실시한 "대학음악교육에 관한 의견조사"에서 드러난 것.
모두 72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 설문조사에서 86.8%가 음대교육에 대
해 만족하지 못한다고 답했으며 90%가 현행 입시제도에 문제가 있으므로 대
폭 개선해야한다는 견해를 보였다.
또 실기교육은 한국예술종합학교음악원을 중심으로하고 기존의 음대는 이
론중심의 교육을 담당해야한다는 문체부의 방침에 대해 58.7%가 반대했다.
음대교육이 만족스럽지 못한 이유로 이들은 교과과정의 전문성 부족(34.8%
),상대적으로 어려운 입학과 쉬운 졸업에서 생기는 모순(24.2%),전공과목과
교양과목및 실기과목간의 학점및 시간배분의 불균형(19.4%),음악대학의 특
성을 무시한 일률적인 교과과정을 꼽았다.
음대교과과정에 대해서도 77.9%가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대답했으며 특히
실제교육을 받고있는 재학생가운데 이비율은 90%에 달했다.
입시제도의 개선방향으로는 46.9%가 실기에서 일정한 성적을 얻는 응시생
중 학과성적의 순서로 선발해야된다고 답했다.
한편 음대학장 협의회에서는 이조사를 토대로 17일 오후2시 한국프레스센
터에서 "대학음악교육활성화를 위한 공개토론회"를 가질 예정이다.
이토론회에서는 서우석 서양음악연구소장이 주제발표를 하며 정진우 서울
대명예교수등 8명이 토론에 나설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