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매출이익률 1.5%...한은, 10년만에 최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작년도 국내제조업의 경영실적은 4.7%라는 최악의 경제성장률(GNP)이 대변
하듯 수익성 재무구조 생산성및 매출신장세에서 모두 부진한 모습이었다.
인건비상승률이 둔화돼 원가부담이 다소 경감됐다는 점외에는 형편없는 성
과를 낸 셈이다.
한은이 20일 발표한 "92년 기업경영분석"에 따르면 제조업의 수익성을 나
타내는 매출액경상이익률은 1.5%에 달해 82년(0.9%)이후 10년만에 가장 낮
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1천원어치의 물건을 팔아 이자등을 갚고나서 고
작 15원의 이익을 남긴 꼴이다.
수익성이 이처럼 나빠진것은 금융비용부담이 높아진게 결정적인 이유였다.
물건을 팔아 얻은 수입(매출액)중 이자등으로 지출한 비중을 나타내는 "금
융비용 부담률"이 91년 5.7%에서 지난해 6.3%로 높아졌다. 이 역시 82년(6.
6%)이후 가장 높아 일본(91년 2.1%)의 3배 수준을 나타냈다.
제조업체가 무거운 금융비용부담에 시달린 것은 금리가 높아져서가 아니
다. 지난해 평균차입금 금리는 12.3%로 오히려 전년보다 0.7%포인트 낮아졌
다. 그런대도 금융비용이 많아진것은 차입금규모자체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총자본중 차입금이 차지하는 비중인 "차입금의 존도"가 47.2%로 81년(49.4%
)이후 가장 높았다. 기업들은 물건이 팔리지않아 재고부담이 가중되자 운전
자금수요를 늘릴수밖에 없었는데다 증시상황도 좋지않아 주식발행을 통한
값싼 자금을 조달하지 못했던 것이다. 경기불화의 여파가 그대로 나타났다
고 할수 있다.
불황탓에 매출이 둔화된것은 당연한 현상이었다. 제조업매출증가율은 10.1
%로 전년의 17.6%를 크게 밑돌았다. 수출은 그런대로 됐으나 내수가 7.3%증
가에 그치는 부진을 보였기 때문이다. 부문별로는 중소기업이 내수둔화영향
을 크게받아 5.9%의 저조한 매출신장을 기록했다.
다만 매출둔화에도 불구하고 영업수지(이자지급및 지출제외)만을 나타내는
매출액영업이익률은 6.6%로 작년과 같았다. 물건이 안팔렸는데도 영업이익
률이 떨어지지 않았던것은 임금상승률의 둔화와 물가오름세진정,수입원자재
값 안정등으로 제조원가부담이 줄어든데 따른 것이다.
종업원1인당 인건비증가율은 12.0%로 전년(18.9%)보다 둔화돼 87년(16.3%)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이에따라 매출액중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인
인건비부담률도 13.9%로 전년보다 0.1%포인트 떨어지면서 87년이후 상승세
가 멈춘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둔화와 상대적인 노사관계안정등으로 임금이
안정됨으로써 어려운 기업경영에 다소간 보탬이 됐다고 할수 있다. 특히 대
기업의 경우 1인당 인건비증가율이 10.5%로 1인당 부가가치증가율(11.8%)을
밑돌았다.
작년도 투자실적도 극히 저조했다. 제조업의 설비투자동향을 나타내는 유
형고정자산증가율은 10.9%로 전년(20.3%)의 절반에 머물렀다.
경기전망이 불투명한데다 이미 중화학분야에서 대형투자가 일단락돼 기업
들이 투자에 나서지 않았기 때문이다.
재무구조도 일제히 나빠졌다. 제조업의 자기자본비율은 23.8%로 전년(24.
4%)보다 떨어졌다. 제조업의 단기지급능력을 나타내는 유동비율도 전년의
95.8%에서 92.8%로 낮아졌다. 부채비율은 3백9.2%에서 3백19.7%로 높아졌
다. 판매부진으로 외상채무가 늘어난데다 주식발행이 저조,재무구조가 악화
된 것이다.
임용호한은조사2부장은 "작년도 기업경영분석은 경기부진의 단면을 그대로
나타내고있다"고 말하고 "경영실적이 나쁜가운데서도 인건비상승세가 한풀
꺾인것은 적지않은 의미가 있다"고 지적했다.
하듯 수익성 재무구조 생산성및 매출신장세에서 모두 부진한 모습이었다.
인건비상승률이 둔화돼 원가부담이 다소 경감됐다는 점외에는 형편없는 성
과를 낸 셈이다.
한은이 20일 발표한 "92년 기업경영분석"에 따르면 제조업의 수익성을 나
타내는 매출액경상이익률은 1.5%에 달해 82년(0.9%)이후 10년만에 가장 낮
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1천원어치의 물건을 팔아 이자등을 갚고나서 고
작 15원의 이익을 남긴 꼴이다.
수익성이 이처럼 나빠진것은 금융비용부담이 높아진게 결정적인 이유였다.
물건을 팔아 얻은 수입(매출액)중 이자등으로 지출한 비중을 나타내는 "금
융비용 부담률"이 91년 5.7%에서 지난해 6.3%로 높아졌다. 이 역시 82년(6.
6%)이후 가장 높아 일본(91년 2.1%)의 3배 수준을 나타냈다.
제조업체가 무거운 금융비용부담에 시달린 것은 금리가 높아져서가 아니
다. 지난해 평균차입금 금리는 12.3%로 오히려 전년보다 0.7%포인트 낮아졌
다. 그런대도 금융비용이 많아진것은 차입금규모자체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총자본중 차입금이 차지하는 비중인 "차입금의 존도"가 47.2%로 81년(49.4%
)이후 가장 높았다. 기업들은 물건이 팔리지않아 재고부담이 가중되자 운전
자금수요를 늘릴수밖에 없었는데다 증시상황도 좋지않아 주식발행을 통한
값싼 자금을 조달하지 못했던 것이다. 경기불화의 여파가 그대로 나타났다
고 할수 있다.
불황탓에 매출이 둔화된것은 당연한 현상이었다. 제조업매출증가율은 10.1
%로 전년의 17.6%를 크게 밑돌았다. 수출은 그런대로 됐으나 내수가 7.3%증
가에 그치는 부진을 보였기 때문이다. 부문별로는 중소기업이 내수둔화영향
을 크게받아 5.9%의 저조한 매출신장을 기록했다.
다만 매출둔화에도 불구하고 영업수지(이자지급및 지출제외)만을 나타내는
매출액영업이익률은 6.6%로 작년과 같았다. 물건이 안팔렸는데도 영업이익
률이 떨어지지 않았던것은 임금상승률의 둔화와 물가오름세진정,수입원자재
값 안정등으로 제조원가부담이 줄어든데 따른 것이다.
종업원1인당 인건비증가율은 12.0%로 전년(18.9%)보다 둔화돼 87년(16.3%)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이에따라 매출액중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인
인건비부담률도 13.9%로 전년보다 0.1%포인트 떨어지면서 87년이후 상승세
가 멈춘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둔화와 상대적인 노사관계안정등으로 임금이
안정됨으로써 어려운 기업경영에 다소간 보탬이 됐다고 할수 있다. 특히 대
기업의 경우 1인당 인건비증가율이 10.5%로 1인당 부가가치증가율(11.8%)을
밑돌았다.
작년도 투자실적도 극히 저조했다. 제조업의 설비투자동향을 나타내는 유
형고정자산증가율은 10.9%로 전년(20.3%)의 절반에 머물렀다.
경기전망이 불투명한데다 이미 중화학분야에서 대형투자가 일단락돼 기업
들이 투자에 나서지 않았기 때문이다.
재무구조도 일제히 나빠졌다. 제조업의 자기자본비율은 23.8%로 전년(24.
4%)보다 떨어졌다. 제조업의 단기지급능력을 나타내는 유동비율도 전년의
95.8%에서 92.8%로 낮아졌다. 부채비율은 3백9.2%에서 3백19.7%로 높아졌
다. 판매부진으로 외상채무가 늘어난데다 주식발행이 저조,재무구조가 악화
된 것이다.
임용호한은조사2부장은 "작년도 기업경영분석은 경기부진의 단면을 그대로
나타내고있다"고 말하고 "경영실적이 나쁜가운데서도 인건비상승세가 한풀
꺾인것은 적지않은 의미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