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공존하는 지구촌에서 으느 나라 국민이
가장 높은 삶의 질을 누리고 있을까. 삶의 질을 객관적으로 측정한다는
것은 쉬운일이 아니다. 최근 유엔은 "93 인간개발보고서"에서 기대수명과
교육정도 구매력등을 지표로 사용하여 세계 각국을 비교하였다. 결과는
일본이 세계1위이고 우리나라는 1백42개국중 33위를 차지하였다. 이제
선진국의 문턱에 이르렀다고 믿고 있던 우리로서는 좀 자존심 상하는
결과였다.

과거 1인당 국민소득이 곧 삶의 질을 나타내는 맹목적인 지표로 사용되어
왔었다. 저개발국가나 개발도상국에서는 경제성장이 지상명제일수 밖에
없을 것이다. 그렇다고 쿠웨이트나 사우디 아라비아 같은 석유부국의
국민들이 높은 삶의 질을 누리고 있다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미국이 경제적 번영을 누리던 60년대에 "보다 좋은 학교 보다 좋은 병원
보다 좋은 도로"에 대한 국민적 욕구가 높았었다. 경제가 어느 수준에
이르면 응당 복지 욕구가 높아지는 것이다.

오늘날 국민들의 욕구는 복잡하다. 물론 1인당 국민소득이 필요조건이다.
그래야 우리들의 2세들이 한학급 25명 정도인 푸른 잔디깔린 학교에서
공부할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세계적인 오케스트라단을 가질 정도로
문화수준을 높여야 하고 노벨의학상이나 과학상 수상자도 서너명 나와야 할
것이다. 사회 모든 분야의 조직이나 관행도 선진화되어야 하고 국토환경도
보다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는 당장 선진국으로 진입하는 양 착각해선 안된다. 진정 높은 삶의
질을 누리려면 각 분야의 바탕이 튼튼하게 깔려야 한다. 서유럽
선진국들은 수세기에 걸쳐 이같은 바탕을 다져왔다. 이것이 바로 국부요
국력인 것이다. 요즘의 개혁도 이런 방향으로 초점이 맞춰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