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창] 청정 GNP .. 변상근 재미자유기고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GNP(국민총생산)는 한 나라 경제가 연간 생산해 낸 상품과 서비스의
총액을 나타낸다. 1940년대 미국 상무부 통계국이 GNP측정으로 씨름할
즈음 하버드의 경제학자 시몬 쿠즈네츠는 "좋은 것(goods:상품을 의미)만이
아닌라 나쁜 것(bads)도 함께 계산에 넣어야 한다"고 우겼었다.
생산이 늘면 GNP는 그만큼 올라간다. 그러나 산업생산이 가져온 대가및
수질오염등 환경파괴와 부존자원의 고갈등 "환경 비용"은 계산에 넣지
않는다. 어느 나라 할것 없이 GNP는 해마다 커진 다는데 국민의 후생,즉
생활의 질은 별로 나아진 것이 없다는 불평들이 쏟아지고 있다. 먹고
살기위해 전보다 더 힘들게 일해야 하고 출 퇴근에 걸리는 시간은 갈수록
길어지고,생활환경 또한 열약해 지고 있는 상황에서 능히 그럴 만도 하다.
가정주부가 집에서 아이를 돌보며 일을 하는 가사노동은 "무급노동"으로
간주,GNP에 계산되지 않는다. 그러나 탁아소에 아이를 맡기고 직장에나갈
경우 받는 봉급과 탁아소 비용은 둘 다 GNP에 포함된다. 미국의 경우 근년
GNP증가의 상당분이 이들 주부들의 직장진출에 힘입은 것이며
전체가사노동을 돈으로 따져 GNP에 넣을 경우 GNP는 30%정도 더 늘어날
것으로 상무부는 추산한다. GNW(국민총복지) 또는 GNS(국민총만족)개념도
등장했지만 그 구체적 산정에 따른 "벽"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환경론자 고어부통령에 주도된 클린턴 행정부는 "녹색(Green) GNP"개발에
착수했다. 총생산에 소요된 모든 환경및 자원파괴를 돈으로 따져 이를
공제하는 일종의 "청정 GNP"다. 대기오염을 얼마로 계산할 것인가,밀래를
위한 자원이용을 꼭 "파괴의 코스트"로 규정해야 할 것인가.
이코노미스트들의 고민은 적지않다. 군비증강에 지출되는 국방예산을
GNP에서 빼자는 주장도 고개를 든다. 강대국들은 "수퍼 파워"의
지위구축으로 국제관계에서 부수적인 이익도 있지만 한국과 이스라엘등
적대적인 군대와 대치중인 나라일수록 국민생활의 질과는 거리가 먼
"비용"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이는 경제적 고려를 넘어서는 문제지만
재화와 영역에다 "삶의 질"(Niceness)을 추가시키는 GNP의 새 등식에
관심을 가져볼 만도 하다
총액을 나타낸다. 1940년대 미국 상무부 통계국이 GNP측정으로 씨름할
즈음 하버드의 경제학자 시몬 쿠즈네츠는 "좋은 것(goods:상품을 의미)만이
아닌라 나쁜 것(bads)도 함께 계산에 넣어야 한다"고 우겼었다.
생산이 늘면 GNP는 그만큼 올라간다. 그러나 산업생산이 가져온 대가및
수질오염등 환경파괴와 부존자원의 고갈등 "환경 비용"은 계산에 넣지
않는다. 어느 나라 할것 없이 GNP는 해마다 커진 다는데 국민의 후생,즉
생활의 질은 별로 나아진 것이 없다는 불평들이 쏟아지고 있다. 먹고
살기위해 전보다 더 힘들게 일해야 하고 출 퇴근에 걸리는 시간은 갈수록
길어지고,생활환경 또한 열약해 지고 있는 상황에서 능히 그럴 만도 하다.
가정주부가 집에서 아이를 돌보며 일을 하는 가사노동은 "무급노동"으로
간주,GNP에 계산되지 않는다. 그러나 탁아소에 아이를 맡기고 직장에나갈
경우 받는 봉급과 탁아소 비용은 둘 다 GNP에 포함된다. 미국의 경우 근년
GNP증가의 상당분이 이들 주부들의 직장진출에 힘입은 것이며
전체가사노동을 돈으로 따져 GNP에 넣을 경우 GNP는 30%정도 더 늘어날
것으로 상무부는 추산한다. GNW(국민총복지) 또는 GNS(국민총만족)개념도
등장했지만 그 구체적 산정에 따른 "벽"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환경론자 고어부통령에 주도된 클린턴 행정부는 "녹색(Green) GNP"개발에
착수했다. 총생산에 소요된 모든 환경및 자원파괴를 돈으로 따져 이를
공제하는 일종의 "청정 GNP"다. 대기오염을 얼마로 계산할 것인가,밀래를
위한 자원이용을 꼭 "파괴의 코스트"로 규정해야 할 것인가.
이코노미스트들의 고민은 적지않다. 군비증강에 지출되는 국방예산을
GNP에서 빼자는 주장도 고개를 든다. 강대국들은 "수퍼 파워"의
지위구축으로 국제관계에서 부수적인 이익도 있지만 한국과 이스라엘등
적대적인 군대와 대치중인 나라일수록 국민생활의 질과는 거리가 먼
"비용"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이는 경제적 고려를 넘어서는 문제지만
재화와 영역에다 "삶의 질"(Niceness)을 추가시키는 GNP의 새 등식에
관심을 가져볼 만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