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그룹 계열사에 노사분규가 급속하게 확산되자 재계가 공동대응에
나서기로 하는등 긴장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경제5단체장들이 29일
예정에 없던 회의를 열고 그 대응방안을 강구키로 했다고 한다.

이번 분규가 단순히 현대그룹에 국한된 것이 아닌 재계전체의 일로
받아들이는 것은 바른 판단인것 같다.

이번 분규는 대형분규로 확산될 위험성이 높다. 우선 현대그룹계열사
노조모임인 현총연이 집단움직임을 시도하고 있다. 현총련은 5월에
쟁의절차를 모두 마치고 6월에 공동임투목표를 달성하자는 계획을 세워두고
있다. 그룹경영진대 현총련노조의 집단대결 구도로 끌고갈것 같다.

이들은 또 대우중공업등 대총연과도 공동임금투쟁을 합의해 둔바 있고
제2의 노총결성도 함께 도모하고 있다. 두기업 그룹노조는 그동안
노사분규를 선도해 왔었다. 새정부 노동정책이 어떤것인가도 시험대위에
올려 놓고 차제에 정책구도도 노조측이 원하는 방향으로 바꾸어 보자는
배경도 깔고 있다고 보여진다. 이것은 분명하게 재계전체의 큰
관심사항이다.

노동부도 사안이 이만큼 진전돼가는 이상 그 정책방향을 뚜렷하게
정리,제도화해주는등 분쟁해결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여주어야 한다. 이번
분쟁은 이인제노동부장관이 민감한 분쟁사항에 대해 너무 우왕좌왕하는
태도를 보여 더 해결을 어렵게 만들었다는 재계의 시각도 있다.

현대자동차노조의 요구사항엔 1파업기간중 통상임금지급 2인사징계위원회
노사동수 3해고자복직보장등이 포함돼 있다. 이장관은 무노동에도
기본생활보장성 부분임금은 주어야 하며 노조가 인사권등 경영에
관련된것도 합법적절차를 통한 요구라면 탓하지 않고 해고근로자는
복직되도록 권유하겠다는 기본입장을 밝혔다가 재계 경제부처 당의 반발에
부딪쳐 모두 철회했거나 유보입장으로 돌아섰다. 이런 중심없는 태도는
하필 노사분규가 심한 민감한 철에 나와 노사가 혼란에 빠져 있다. 이런
사항들은 엇갈린 해석이 나올수있는 애매한 행정지침으로 더이상
놔두지말고 법으로 제도화시켜 다툼의 소지를 없애야 한다. 현재 급박하게
진행되고 있는 분규의 쟁점해결에도 그 제도정신을 살려 사태가 해결될수
있도록 노동부가 앞장서야 한다.

거듭 천명하지만 지금은 신경제기치아래 노.사.정이 경제회생에 온갖 힘을
모아가고 있는 중이다. 누구하나도 고통분담을 포기하면 신경제는
출발점에서 부터 흔들릴수가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