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전교조 탈퇴를 전제로 해직교사의 내년초 복직방침을 밝힌데 대
해 전교조측은 2학기전 복직을 요구하며 단식농성에 돌입,또 한차례 파국
이 우려되고 있다.
오병문 교육부장관은 21일 국회 교육위에서 답변을 통해 "전교조 해직교사
의 연내 복직은 어려우며,탈퇴각서를 제출하면 내년초 복직시킬 생각"이라
고 밝혔다.
오장관은 이날 "현재 임용고사에 합격해 대기중인 인원이 초등 2천2백83명
,중등 2천1백77명이며,2학기에는 이중 8백26명정도만 발령이 가능하다"며 "
추가정원이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해직교사의 2학기 복직은 힘들다"고 말
했다.
오장관은 또 "해직교사들이 복직하더라도 경력인정,보상은 불가능하며 현
행법에 의한 신규 임용형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전교조 산하 해직교사원상복직추진위원회(원복추,위원장 이수호
)의 전국 15개 시도지부 대표단 16명은 21일 오후 2시 서울 명동성당에서
해직교사 전원 2학기복직을 요구하며 무기한 단식농성에 돌입했다.
"원복추"는 농성에 앞서 성명을 통해 "개혁과 화합을 표방하는 문민정부의
출범에도 불구하고 교육개혁의 출발인 해직교사 복직이 지연되고 있는 것은
김영삼정부가 노정권과 다름없음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교조는 "원복추" 대표단의 단식에 이어 22일부터 전국 15개 시도 1백53
개 지회에서 전현직교사가 참여하는 철야농성을 벌이는 한편 청와대에 매일
1만여통씩의 "원상복직 촉구 엽서보내기"운동을 펴기로 했다.
전교조는 24일까지 해직교사복직에 대한 교육당국의 전향적인 입장표명이
없을 경우 단식농성 참여인원을 전체 해직교사로 확대하고 범국민 청원운동
도 병행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