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센터등 경정비업소 사소발생위험 높아 .. 보완책 시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카센터 카인테리어 배터리점 등 소위
경정비업소들이 난립,정비부실로 인한 사고발생위험이 매우 높은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8일 한국소비자보호원은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등 4개 대도시의 경정비업소
1백39곳과 승용차 자가운전자 3백4명을 대상으로 자동차 경정비업소 운영및
이용실태를 조사,이같이 밝혔다.
경정비업소 설문조사결과 경정비업소의 작업가능범위를 정확히 알고
있다는 업소는 1백3개(74.1%)뿐이었고 그나마 이중 88개업소(85.4%)는
작업가능범위와 관계없이 운전자 요청대로 정비를 해주고있다.
또 운전자들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는 조사대상 3백4명중 84.9%(2백59명)가
자동차에 이상이 있을 때 경정비업소를 주로 이용하거나 1,2급 정비공장과
구분없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정비업소를 이용하는 운전자의 39.1%(1백1명)는 경정비업소에서
정비받은 차의 안전성에 대해 불안을 느낀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는 경정비업소의 정비기술인력이 업소당 평균 2.2명,그중
정비관련자격증소지자는 1.1명에 불과하고 자격증소지자가 전혀없는 업소도
24.5%나되기 때문인 것으로 지적됐다.
자동차정비관련 소비자피해는 "경정비업소 이용후"가 42.4%(1백29명)로
가장 많았고 "일반 1,2급 정비공장 이용후"는 32.2%,"직영애프터서비스센터
이용후" 26.3%의 순으로 나타났다.
소비자피해종류로는 불량부품이나 용품사용,과다한 정비요금청구 등으로
인한 피해가 많다고 응답했고 전체적으로 60.9%의 운전자들이 자동차정비와
관련된 각종 피해를 경험했다.
이런 문제점들에도 불구하고 자가운전자들은 경정비업소의 정비행위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따라서 경정비업소를 양성화하고
업소의 인력및 시설기준을 1,2급정비공장과 구분하여 제정하고 작업범위도
별도로 설정하는등 보완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경정비업소들이 난립,정비부실로 인한 사고발생위험이 매우 높은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8일 한국소비자보호원은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등 4개 대도시의 경정비업소
1백39곳과 승용차 자가운전자 3백4명을 대상으로 자동차 경정비업소 운영및
이용실태를 조사,이같이 밝혔다.
경정비업소 설문조사결과 경정비업소의 작업가능범위를 정확히 알고
있다는 업소는 1백3개(74.1%)뿐이었고 그나마 이중 88개업소(85.4%)는
작업가능범위와 관계없이 운전자 요청대로 정비를 해주고있다.
또 운전자들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는 조사대상 3백4명중 84.9%(2백59명)가
자동차에 이상이 있을 때 경정비업소를 주로 이용하거나 1,2급 정비공장과
구분없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정비업소를 이용하는 운전자의 39.1%(1백1명)는 경정비업소에서
정비받은 차의 안전성에 대해 불안을 느낀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는 경정비업소의 정비기술인력이 업소당 평균 2.2명,그중
정비관련자격증소지자는 1.1명에 불과하고 자격증소지자가 전혀없는 업소도
24.5%나되기 때문인 것으로 지적됐다.
자동차정비관련 소비자피해는 "경정비업소 이용후"가 42.4%(1백29명)로
가장 많았고 "일반 1,2급 정비공장 이용후"는 32.2%,"직영애프터서비스센터
이용후" 26.3%의 순으로 나타났다.
소비자피해종류로는 불량부품이나 용품사용,과다한 정비요금청구 등으로
인한 피해가 많다고 응답했고 전체적으로 60.9%의 운전자들이 자동차정비와
관련된 각종 피해를 경험했다.
이런 문제점들에도 불구하고 자가운전자들은 경정비업소의 정비행위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따라서 경정비업소를 양성화하고
업소의 인력및 시설기준을 1,2급정비공장과 구분하여 제정하고 작업범위도
별도로 설정하는등 보완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