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발산업의 국제경쟁력을 높이기위해 추진되고 있는 녹산공단내
신발협업화단지조성 사업을 둘러싸고 상공자원부와 신발업계간 의견차이가
두드러져 단지조성사업이 어려움을 겪을 전망이다.

25일 상공자원부의 의뢰에 따라 신발연구소가 작성한 "신발산업협업화단지
조성안"에 따르면 단지에 입주할 업체는 완제품업체 65개
부품업체1백23개등 모두 1백88개로 이중 완제품업체의 생산시설은
업체당3개라인으로 제한해 놓고 있다. 상공자원부는 어차피 신발산업이
해외주문감소로 생산시설감축을 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서
단지입주업체들을 경제성있는 최소 단위시설 보유업체로 제한할 필요성이
있다는 입장이다.

반면 신발대기업들과 신발협회는 3개라인으로 입주업체를 제한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대기업을 단지 입주에서 배제하는 것으로 이를 찬성할 수
없다고 밝히고 있다. 이들은 또 3개가넘는 라인을 보유하고 있는 업체가
이중 3개라인만을 떼어내 단지에 입주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신발협업화단지 운영방법에 대해서도 양쪽의 의견이 갈라져 있다.

상공자원부는 앞으로 단지에 입주할 업체들은 공동구매 공동제품개발
금형등의 공동이용을 통해 제조원가를 크게 낮출 수 있다고 보고있는 반면
신발협회는 신발산업의 속성상 업체간 공동구매 개발이란 이상론으로는
가능할지 모르지만 현실적으로는 실현가능성이 없다고 맞서고 있다.
협업화단지의 필요성은물류비용절감차원에서 이야기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단지조성주체에 대해서도 역시 서로다른 견해를 갖고있다.

상공자원부는 단지에 입주할 의사가 있는 업체들이 자발적으로
추진위원회를구성,단지조성에 나서야 하며 신발협회는 사무국 역할만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는 의견인 반면 신발협회와 일부대기업들은
당연히 추진주체는 협회가 되어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신발협회 한 관계자는 "신발산업을 살리자는데는 누구도 반대할 사람이
없지만 이상론보다는 좀더 현실적으로 적용가능한 범위에서 단지조성사업을
추진할 수있도록 민관이 유기적인 협조체제를 유지했으면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