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프업계,세제 혜택 폐지 추진에 "비상"...판매격감 예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 4년간 연평균 75%의 기록적인 판매신장을 거듭해 온지프차
업계가 지프에 대한 세제혜택 폐지 추진으로 비상이 걸렸다.
이는 정부가 지프의 전시 징발 가능성 때문에 지프에 대해해주
던 특별소비세,자동차세 및 지하철공채 매입액의 경감혜택을
내년 초까지는 폐지 또는 축소할 준비를 하는데 따른 것이다.
지프업계는 이 조치가 이루어지면 판매가 40%이상 감소하는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고 지프 제조 4사가 집단적으로 반대
의견을 나타내고 있다.
지프 업계에는 기존의 현대정공(갤로퍼),쌍용자동차(무쏘,코란
도),아시아 자동차(록스타)에 이어 기아자동차가 스포티지 지프
로 최근 새로 참여해 뜨거운 4파전이 벌어지고 있어 세금 문제
가 민감한 상황이다.
업계는 국내 지프산업이 막 커가는 단계이므로 이처럼 찬물을
끼얹는 조치는 산업육성 차원에서 잘못이라는 주장이다.
특히 현재 국산 지프의 10%가 수출되고 있으며 승용차에 비
해 쿼타등 수입규제를 적게 받는 지프를 수출 주력차종으로 육성
할 필요가 있다고 말하고 있다.
내무부와 재무부,교통부가 지프 구입에 대한 3가지 혜택을 없
애려는 것은 일반 승용차에 비해 세금형평이 너무 차이 나고 레
저용 구입이 많아지고 있으며 경유를 써 공해배출도 많다는 데
있다.
이에 따라 차값의 10%에 그치고 있는 지프의 특소세를2천5백cc
정도인 배기량에 걸맞게 25% 정도로 현실화하고연간 10만원인 자
동차세도 연간 40-60만원선으로 해 일반승용차와 균형을 맞추겠
다는 것이다.
지하철공채도 지프 구입자는 현재 차량값의 2%만 사도록 혜택
을 주고 있으나 적어도 5%선으로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업계는 특히 지프가 레저용이라는 시각에 억울한 표정이다.자동
차공업협회 조사결과 레저용 구입은 10%에 불과하며 66%정도가
자영상공업자의 업무용이어서 국가경제 기여도가 큰 차라는 주
장이다.
이번 조치가 현실화되면 대당 1천2백만원인 지프의 가격이 1천5
백만원선으로 비싸지고 세금등 유지비도 많아져 지프붐이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
정부와 업계의 논란이 팽팽해지자 총리실이 조정에 나설 정도여
서 귀추가 주목된다.
업계가 지프에 대한 세제혜택 폐지 추진으로 비상이 걸렸다.
이는 정부가 지프의 전시 징발 가능성 때문에 지프에 대해해주
던 특별소비세,자동차세 및 지하철공채 매입액의 경감혜택을
내년 초까지는 폐지 또는 축소할 준비를 하는데 따른 것이다.
지프업계는 이 조치가 이루어지면 판매가 40%이상 감소하는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고 지프 제조 4사가 집단적으로 반대
의견을 나타내고 있다.
지프 업계에는 기존의 현대정공(갤로퍼),쌍용자동차(무쏘,코란
도),아시아 자동차(록스타)에 이어 기아자동차가 스포티지 지프
로 최근 새로 참여해 뜨거운 4파전이 벌어지고 있어 세금 문제
가 민감한 상황이다.
업계는 국내 지프산업이 막 커가는 단계이므로 이처럼 찬물을
끼얹는 조치는 산업육성 차원에서 잘못이라는 주장이다.
특히 현재 국산 지프의 10%가 수출되고 있으며 승용차에 비
해 쿼타등 수입규제를 적게 받는 지프를 수출 주력차종으로 육성
할 필요가 있다고 말하고 있다.
내무부와 재무부,교통부가 지프 구입에 대한 3가지 혜택을 없
애려는 것은 일반 승용차에 비해 세금형평이 너무 차이 나고 레
저용 구입이 많아지고 있으며 경유를 써 공해배출도 많다는 데
있다.
이에 따라 차값의 10%에 그치고 있는 지프의 특소세를2천5백cc
정도인 배기량에 걸맞게 25% 정도로 현실화하고연간 10만원인 자
동차세도 연간 40-60만원선으로 해 일반승용차와 균형을 맞추겠
다는 것이다.
지하철공채도 지프 구입자는 현재 차량값의 2%만 사도록 혜택
을 주고 있으나 적어도 5%선으로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업계는 특히 지프가 레저용이라는 시각에 억울한 표정이다.자동
차공업협회 조사결과 레저용 구입은 10%에 불과하며 66%정도가
자영상공업자의 업무용이어서 국가경제 기여도가 큰 차라는 주
장이다.
이번 조치가 현실화되면 대당 1천2백만원인 지프의 가격이 1천5
백만원선으로 비싸지고 세금등 유지비도 많아져 지프붐이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
정부와 업계의 논란이 팽팽해지자 총리실이 조정에 나설 정도여
서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