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경=최필규특파원]중국정부는 사회불안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최근의
물가앙등을 억제하기위해 연말까지 모든 가격자율화조치나 가격인상을 동
결했으며 지방정부에도 물가를 현수준에서 유지하고 각종 투기행위를 단
속토록 지시했다고 차이나데일리등 중국언론들이 6일 보도했다.

중국국무원의 이번 가격동결조치는 지난 7월에 채택된 인플레억제를 위한
16개계획안에 따라 취해지는 것으로 새로운 조치들은 중앙정부의 가격통제
를 받는 모든 상품과 에너지및 교통분야를 제외한 모든 프로젝트에 적용
된다.
그러나 이같은 조치가 언제부터 효력을 발휘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정부령은 지방정부 관리대상 상품가격도 연말이전까지 인상할 수 없으며
올 하반기 경비 인상이 예정된 프로젝트들도 당분간 유보되며 밝히며 모든
중앙및 지방정부 부처들은 각 담당 부문별로 현실적인 가격 통제정책을
마련해야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중국정부는 인플레이션과 경기불안을 유발시키는 건축등 고정자산에
대한 투자를 진정시키기 위한 7개항의 새로운 조치를 발표했다고 중국언론
들이 이날 보도했다.

중국언론들의 보도에 따르면 이같은 조치는 기업들의 고정자산에 대한
투자를 규제함으로써 자금이 중국정부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흐르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중국정부는 중앙및 지방정부의 모든 신규건설사업을 재검토
하도록 지시했으며 고급호텔 사무실 빌라등 정부정책과 맞지않으면서 특별
한 수요도 없는 건축물의 신축을 엄격히 제한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중국정부는 원칙적으로 남은 하반기중에는 대규모 신규건축사업을 일절
인가하지 않을 것이며 은행들도 정부인가가 없는 사업에 대한 대출은 없을
것이라고 언론들은 전했다.

중국정부는 외국계 자금을 비롯한 정부가용재원을 농업 교통 통신 전력
생산등 우선 국책사업에 집중할 방침이다.

중국정부의 이번 조치는 지난 7월초 주용기부총리가 중앙은행장으로 취
임한 이후 발표하기 시작한 경기과열해소를 위한 16개계획안에 따라서
취해진 것으로 주부총리는 지난주 경기안정책으로 중국통화인 인민폐의
환율이 안정되는등 자신의 정책이 실효를 나타내고 있다고 지적한바 있다.

고도성장으로 경기과열우려가 높은 중국에서는 올들어 지난 7월까지 기
업들의 고정자산에 대한 투자가 70%증가했으며 이는 원자재가격의 앙등을
가져와 도시지역의 7월 인플레율은 23.3%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