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공직자 재산공개이후 뜻밖의 "정중동"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재산공개에따른 실사및 사정후유증이 또한차례 회오리바람을 몰고올 경우
공직사회나 경제에 미치는 적지않은 부작용을 우려해서다.

청와대는 이때문에 실사등 후속조치에 따른 기본지침은 줄수있겠지만
개인차원의 비리조사에는 관여하지 않겠다는 기본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고위관계자는 이와관련, "재산공개여파로 부자체가 나쁜것으로 인식
되어서는 안된다"며 "언론에서도 재산이 많다는 이유만으로 개인을
매도해서는 곤란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지난7일 김영삼대통령이
"공직을 이용한 치부는 엄단해야하지만 정당한 부는 오히려 존경받아야
한다"고 말한것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할수 있다"고 덧붙였다.

청와대는 이에따라 민정수석실이 중심이돼 특명사정대책반을 구성,
공개된 재산의 실사에 나서기로 했던 당초 방침을 완전 백지화했다.
대신 윤리위원회, 총리실제4행정조정관실, 각부처 감사관실등이 성실신고
여부와 실사기준 실사작업등을 나누어 진행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또 이 과정에서 검찰 국세청등 사정기관들이 공조체제를 유지할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개혁의 진원지로서 사정과 관련한 청와대의 역할은 자의든
타의든 여전히 무시할수 없다. 각사정기관이 펼쳐갈 후속조치를 총괄
하고 조율할수 있는 곳은 역시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될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청와대는 이같은 이유에서 언론등에서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청와대내
인사에 대해 가급적 빠른 시일내에 자체조사등을 통해 문제확대를 사전에
차단한다는 방침을 세워놓고 있다.

주유소 빌딩등 부동산 과다보유로 문제가 제기된 박노영치안비서관을 8일
경찰청에 원대복귀시킨 것도 그 단적인 예다. 박비서관은 이날오후
경찰정장에게 사표를 제출했다.

박비서관외에도 부동산투기의혹을 받고있는 정옥순비서관에 대해서는
일단 소명기회를 준뒤 그래도 문제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조치를 내린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일부에서 문제를 제기한 주돈식정무수석, 김혁규사정1비서관등은
재산형성과정에 의혹이 없는것으로 보고 더이상 문제삼지 않기로 결론을
맺은것으로 알려졌다.

<김기웅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