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정책 소득재분배 역행...최광한국외국어대교수 주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의 재정정책이 국민의 부와 소득을 재분배시키는 가장 강력한 수
단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세출과 조세정책은 부와 소득의 분배를
개선시키는커녕 오히려 악화시키는 것으로 지적됐다.
최광 한국외국어대교수는 17일 오전 서울 양재동 일동제약사옥 강당에
서 열린 한국조세연구원 개원 1주년 기념심포지엄에서 "예산정책의 기본
과제와 방향"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최교수는 재정개입전과 개입후의 순재정귀착에 대해 재정개입전에 저
소득층 A와 고소득층 D의 소득격차는 D가 A의 5백배인데 비해 재정개입
후 D의 소득은 A의 7백15배가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최교수는 정부의 재정정책이 본래의 역할을 수행할 경우 재정
개입후 D의 소득이 A의 2백62배로 줄어야 한다고 밝혔다.
최교수는 현 재정정책이 소득분배를 악화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세제상
소득세와 재산세 기능의 약화와 소비과세의 구조적 모순, 세출과 관련해
서는 소득보상적 지출의 내용이 체계화되지 않은 것을 꼽았다.
단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세출과 조세정책은 부와 소득의 분배를
개선시키는커녕 오히려 악화시키는 것으로 지적됐다.
최광 한국외국어대교수는 17일 오전 서울 양재동 일동제약사옥 강당에
서 열린 한국조세연구원 개원 1주년 기념심포지엄에서 "예산정책의 기본
과제와 방향"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최교수는 재정개입전과 개입후의 순재정귀착에 대해 재정개입전에 저
소득층 A와 고소득층 D의 소득격차는 D가 A의 5백배인데 비해 재정개입
후 D의 소득은 A의 7백15배가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최교수는 정부의 재정정책이 본래의 역할을 수행할 경우 재정
개입후 D의 소득이 A의 2백62배로 줄어야 한다고 밝혔다.
최교수는 현 재정정책이 소득분배를 악화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세제상
소득세와 재산세 기능의 약화와 소비과세의 구조적 모순, 세출과 관련해
서는 소득보상적 지출의 내용이 체계화되지 않은 것을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