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최고의 전통과 권위를 자랑하는 노벨상중에서도 평화상 수상자 만큼
뜻밖의 인물이나 단체가 수상받게 되는 경우도 드물다. 그것은 부문별로
수상자가 국한되어있는 학술상이나 문학상과 달리 세계평화와 인류행복에
기여했다는 수상기준이 시각에 따라 달라질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역대 노벨 평화상 수상자 일람표를 보면 시대마다 당시의
세계평화의 장애요인이 무엇이었고 누가(또는 어느단체)인류발전에
기여했었느냐는 시대상을 알수가 있어 흥미롭다.

또 평화상 수상자는 다른 부문과는 달리 노르웨이 국회가 선출한
5인위원회가 선정,발표한다. 노벨상 수상식은 노벨이 사망한 12월10일에
스웨덴의 스톡홀름에서 거행되지만 평화상만은 같은날 노르웨이의
오슬로에서 시상된다.

금년의 노벨평화상 수상자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인종차별정책(아파르트
헤이트)을 철폐한 공로로 흑인 인권지도자 넬슨 만델라(75)와 백인정부
대통령 데 클레르크(57)가 공동수상하게 되었다.
우리 세대에 있어서 남아공의 아파르트헤이트가 얼마나 큰 부담이었는지는
남아공 출신 노벨평화상 수상자가 지난 60년에 아프리카민족회의(ANC)의장
이었던 알베르트 루툴리,84년에 요하네스버그의 데즈먼드 투투성공회주교에
이어 이번이 3번째라는 사실에서도 알수있다.

노벨상이 창설된 1901년,즉 20세기초에는 평화의 개념이 국제관계의
안정이었다. 국가간에 분쟁이나 적대행위가 없고 친선관계가 유지되는
것이 평화로 인식되었었지만 근래에는 개인의 인권을 회복하고 고통을
분담하려는 인도주의적 정신과 실천을 높이 평가하는 경향이다.

그래서 사하로프(75년) 테레사(79년) 바웬사(83년) 달라이라마(90년)
아웅산 수지(91년)등이 수상하게 되었고 유색인종도 수상의 영예를 누리게
되었다.

아시아지역의 평화상 수상자는 베트남의 레 둑 토(73년),일본의
사토(좌등영작.74년),인도의 테레사,티베트의 달라이라마,버마의 아웅산
수지등 4명이지만 테레사수녀는 인도에서 봉사활동을 하고 있으나 출신지는
유고슬라비아라고 할수 있으므로 엄밀하게 말하면 3명인 셈이다.
우리나라에도 평화통일이 실현되는 날이면 수상하게될 기회가 있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