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가 늘어감에 따라 자동차 정비물량이 급증하고 있는데도 불구,정비
인력의 부족과 그에따른 정비시간지연으로 인해 각종 불편을 호소하는 사례
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27일 교통부와 자동차정비업계에 따르면 올해 9월말현재 승용차와 버스
트럭등 전국의 차량수는 6백만3천여대로 지난 89년말 2백66만여대에 비해
무려 1백25.7%가 증가한 반면 정비업체수는 1천77개에서 1천7백20개로
59.7%,정비인력수는 3만6백90명에서 4만6백42명으로 32.4%만이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와함께 정비인력 한사람당 담당해야할 차량수는 89년말기준 86.7대보다
70.3%가 증가한 1백47.7대에 이르는 실정이다.

이에따라 전국의 1천7백여개 1,2급정비업소들은 대부분 부족한 인력으로
늘어나는 정비물량을 감당하지 못해 추가정비인력확보에 골몰하고 있다.

더욱이 상대적으로 인력난이 심한 서울등 대도시의 경우 웃돈을 얹어 서로
인력을 빼내오는 출혈경쟁에까지 돌입한 형편이다.

서울 강서구 가양동 소재 동성자동차공업사의 한희영 정비부장(51)은
이에대해 "각업소마다 스카우트경쟁이 치열해 인건비가 계속 상승하는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다"고 털어놨다.

한편 최근 정비수요의 폭증에 편승해 10년이상 숙련기능공의 경우
카센터와 같은 경정비업소를 차려 따로 독립하는 경우가 많아 업체의
정비인력분산과 함께 정비부실의 위험이 높아가고 있다.

경정비업소들은 법에 규정된 부품교환,결함부분의 간단한 시정외에 대부분
무허가로 일반수리까지 하고 있다.

특히 정비수요자들이 1,2급정비업체의 정비적체를 피해 갈수록 이들
경정비업소를 찾는 경우가 많아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많다.

이와 관련,(주)선진카독크센타(서울 강남구역삼동 825의6)를 운영하고
있는 정진술씨는 기존 정비사업자들의 영세성을 정비인력 부족의 근본
원인으로 지적하고 있다.

"서울지역의 경우 사업자의 72.5%가 사업소부지를 비싼 땅에 임대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라서 종업원의 임금이나 복리수준을 향상시키는데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 정씨의 설명.

이에따라 자동차 정비업계는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작업
환경을 개선하고 시설을 확충해 우수한 정비기능요원을 확보하는 한편
전문인으로서의 자부심을 가질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젊은 계층을
충원해야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조일훈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