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에 폭력이 난무하고 있다. 일부 지성인들은 21세기를 고도로
정보화된 통합사회로 내다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중세기와 같이 지역과
민족 종교 폭력집단등에 의해 분열된 암흑사회를 점치기도 한다. 멀지
않아 폭력과 범죄가 국가의 강제력에 의한 통제기능을 압도하는 그런
사태가 올 것이라는 것이다.

소말리아 같은 후진국이나 체제전환의 격류에 휘말려있는 동구권과
구소련에서의 무질서와 폭력과는 달리 미국 영국 독일등 선진국에서는
절망적인 상태에서 자제력을 상실한 젊은이들의 범죄와 폭력이 판치고
있다. 이러한 사회현상은 경제의 소프트화,고도화로 부터 비롯되고 있다.
공장의 무인자동화,서비스의 기계화는 원천적으로 일자리를 줄여버린다.
단순서비스업무는 임금수준이 낮고 그나마 일자리에 대한 보장도 없다.

정보화의 진전으로 고급의 정신노동자에게 요구되는 기술은 빠르게
변화한다. 새로운 고급교육을 끊임없이 받아야 적응을 한다. 옛날같이
직장에서의 단순반복학습으로는 고급두뇌업무를 맡을 엄두조차 못낸다.

궁지에 내몰려 낙오자로 전락한 젊은이들 사이에는 미래에 대한 절망감이
확산되고 쉽게 폭력으로 이어진다.

정부가 이에 맞서려면 인력과 예산을 늘려야 한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젊은이들을 변화에 맞춰 새롭게 교육시켜야 한다. 여기에서도 또한 예산과
시간이 필요하다. 하지만 신변안전을 보장받지 못하는 국민들은 더이상
참으려고 하지 않는다. 공권력에 대한 불신이 커져 세금을 더 내느니
그돈으로 스스로를 무장하겠다고 나선다. 기업들은 사설경비를 늘리고
지역주민들은 자경단을 조직한다. 이러한 악순환이 계속되면서 폭력과
더불어 살거나 폭력에 맞서 스스로를 무장해야 하는 양자택일이 강요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비단 남의 나라 일만은 아니다. 우리 주변에서도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늦기전에 대책을 세워야 한다. 치안확보만으로는 부족하다. 우선 젊은이
들의 일자리를 늘려줄 적극적인 산업정책이 필요하다. 그리고 변화에 맞춰
사회교육을 재확충하고 학교교육을 개혁해야 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