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부여박물관"은 자연경관을 그대로 살리면서 경사지에 적절히 배분된
공간의 위계와 건물군의 분절,입면요소등 모두가 한국적정서에 알맞는 훌륭
한 건축적해결을 했다.

또한 지형이 지닌 포용적 이미지에 순응, 전통건축물의 현대적표현,
박물관건축의 새로운 개념시도를 했다는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금성산을 배경으로한 석구조물의 조형성은 고저차가 있는 부지에 솔직하게
흡수시켜 건물군과 축의 설정에서 그 해답을 얻으려고 노력한 흔적이
엿보였다. 건축물의 배치형식에 있어서는 방위축을 주축으로 능선축을 부축
으로 하여 남향배치형식을 취함으로써 관람객이 들어올때 역광을 받지
않도록 세심하게 배려하고 있다. 아울러 다양한경관의 변화, 즉 건축물,
외부공간의 수목들, 오브제들이 어우러져 연출하는 변화를 효과있게 체험할
수있도록 했다.

중량감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외벽과 경사지붕의 단아함은 세련된 건축적
기법을 나타내고있다. 특히 평면공간은 현대적박물관이 갖추어야할 기능적
요구의 충족에도 부족함이 없이 중정중심의 연속순회형식의 전시실공간배치
로 관람및 관리동선의 명료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외에도 곳곳에 보이는 휴먼스케일,한국적요소들의 적절한 활용,권위적인
건축형태의 의식적인 배제등은 박물관건축의 새로운 지평이 될수있을것으로
판단된다.

한국내 근대건축이 도입된이래 수없이 많은 국적없는 건축물들, 특히 국적
시비가 많았던 전부여박물관과는 달리 신축박물관은 건물의 조형의지가
보여주듯 한국적건축을 잘 표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수
있다.

윤 도 근 < 홍익대교수.건축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