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공해,자원 재활용의 "환경상품"이 소비자들의 외면으로 찬밥신세다. 재
생용지를 사용하는 공책류,오존층 파괴물질인 염화불화탄소(CFC)를 사용하
지 않은 스프레이류등 제품은 환경처로부터 환경마크(E마크)를 부여받은 이
후 오히려 판매고가 격감하고 있으며,썩는 프라스틱류를 개발한 업체들은
원가부담속 판로확보에 고심하고 있다.
15일 환경처에 따르면 환경마크제도를 도입한 지난해 4월4일이후 모두 56
개업체 1백40종의 제품이 대상상품으로 지정됐다
그러나 재생용지를 50%이상 사용해 지난해 7월29일 환경마크를 최초로 부
여받은 A연구소 "재돌이공책"의 경우 지난해 9월 24만권의 판매고를 기록했
으나 12월에는 10만권,올들어 지난달에는 5만여권으로 떨어졌다.
오존층을 파괴를 이유로 선진국에서는 생산이 규제된 염화불화탄소를 넣지
않은 S공기청향제의 경우 지난해9월 6만개에서 연말기준 1만3천개로,A헤어
무스는 1만5천개에서 1천개로 판매량이 각각 격감했다.
머리카락 모양새를 고정시키는 D스프레이와 A스프레이의 경우는 아예 생산
이 중단됐다.
A연구소 강우현씨(41)는 "재생공책의 제조원가가 1백% 새 종이를 쓰는 제
품과 똑같은데다 소비자들은 환경상품이 아닌 "싸구려"라고 인식,구매를 꺼
리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와함께 썩지않는 프라스틱의 환경공해에 대응,빛과 흙속의 미생물에 의
해 분해되는 S포도당의 "바이오그린",S인더스트리의 "스카이그린",U사의 "
그린폴"등 프라스틱제품은 개발비에 따른 20%이상의 원가부담속 판로확보
를 못하고 있다.
더구나 썩는 프라스틱은 환경마크 대상상품으로 지정돼 있지 않아 그나마
형식적인 지원마저도 받을 수 없는 형편이다.
이같은 상황속에 최근에는 환경마크를 신청하는 업체도 줄고 있으며,18개
대상품목중 *폐타이어를 이용한 제품 *무표백,무염색 수건 *폐면이용 포장
재등 10개품목은 아예 신청업체 조차 없는 실정이다.
U사의 유영득 연구팀장은 "많은 업체들이 소비자들의 환경의식을 마켓팅으
로 연결하기 위해 썩는 프라스틱등 환경보호제품을 개발하고 있으나 실제
판매에는 도움이 되지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환경제품 판매촉진을 위
한 정부의 우선구매.홍보관설립등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