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계열사들이 잇따라 전무급이상 고위임원들을 신설된 사장보좌역으
로 발령, 경영일선에서 퇴진시키고 있다. 일부계열사에서는 사장보좌역으로
임명된 임원이 사표를 제출, 내부적으로 상당한 진통을 겪는 모습이다.
그룹계열사중 삼성물산이 지난 3일 처음으로 조직개편을 단행, 이사급이 사
업부장을 맡는 책임경영체제를 구축하면서 전무급 5명을 사장보좌역으로 발
령해 사실상 경영일선에서 물러나도록 했다. 이번에 사장보좌역으로 발령받
은 사람은 영업담당 민재홍전무를 비롯 박철원기획실장 정우택철강사업부장
김명한프로젝트사업부장 정방언 미주지사총괄전무이다.
또 제일모직도 오명록섬유부문총괄부사장을, 제일합섬은 양원석경영지원실
장(전무), 삼성종합화학은 변재황연구소장(전무), 안국화재는 이용석관리본
부장(전무), 삼성중공업은 이경우전략경영실장(전무)을 각각 사장보좌역으로
발령했다.
삼성전자도 곧 대규모 조직개편을 통해 10여명의 전무급이상 임원들을 사장
보좌역으로 경영일선에서 퇴진시킬 계획으로 알려졌다. 전기 코닝 전관 항공
건설등 그밖의 주요계열사들도 1~2명의 전무급이상을 빼낼 방침이다. 사장보
좌역발령대상은 주로 관리및 기획부문 임원들이 거론되고 있다.
삼성그룹은 이들 사장보좌역들이 경영에서 완전히 물러나는 것이 아니고 각
사의 중장기전략 및 방향수립.신규투자결정.사업부간업무조정역할을 맡게되
며 관장업무도 주어지는등 주로 경영지원역할을 하게된다고 밝히고있다. 또
일본기업들이 처음 채택한 "사장보좌역제도"가 새로운 경영관리조직체계로
성공을 거두고 있다고 강조, 사장의 전략구상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위해 이
제도를 도입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전무급이상 고위임원들이 대거 경영일선에서 물러나게되는 것은 결
국 세대교체를 겨냥한 "물갈이"의 성격이 짙다는 것이 재계의 일반적인 관측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