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우주연구소가 오는 98년까지 다목적 인공위성 개발을 주도하고 99년
부터나 인공위성 사업을 민간에 이양할 방침을 굳히고있어 기업들이 인공
위성 제작기술 이전을 어렵게하는 방식이라며 반발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항공우주연구소는 10일 상공자원부의 의뢰로 마련한 "다목적 실용 위성
개발 체제 및 국산화 방안 조사연구"라는 보고서에서 98년까지는 연구소
에서 인공위성 설계 및 최종 조립을 하고 업체에는 이에 소요되는 부품
생산을 맡길 계획이라고 밝혔다.

상공자원부는 항공우주연구소에 의뢰한 연구보고서를 토대로 다목적 인공
위성 개발계획을 확정키로 했기때문에 항공우주연구소의 계획안 대로 확정
될 공산이 크다.

그러나 삼성항공 대한항공 대우중공업 현대정공 한라중공업등은 "항공우주
연구소가 인공위성 설계 시스템 종합등을 맡고 업체들은 부품제작만 할경우
민간기업의 인공위성 설계 기술 확보는 불가능하다"며 설계 단계에서부터
기업가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항공우주연구소가 99년부터 업계에 컨소시엄 형태로 최종 조립권을
넘겨줄 경우 항공기분야와 마찬가지로 위성사업권을 둘러싼 주도권 경쟁이
불가피해질 것으로 판단,사업초기부터 어떤 형태로든 최종 조립 참여업체가
지정돼야 한다는 주장도 일고있다.

삼성항공은 "99년부터 업계주도로 인공위성사업이 진행된다면 1차단계인
내년부터 업계가 설계단계에서부터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한다"고
주장했다.

삼성항공은 "정부지원이 개발 예산의 80%에 달해 정부연구기관 주도로
개발을 추진하는 것이 타당하나 인공위성사업 참여의지와 기술수준 등
99년 이후 개발주도업체를 선정할 수 있는 기준을 미리 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항공도 "인공위성 실험 설비투자 규모가 막대해 업계가 공동이용 할수
있는 정부투자연구기관에서 실험설비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으나 기업들의 효과적인 기술습득을 위해 업체와 항공우주연구소
공동주관으로 개발을 추진해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대우중공업은 "인공위성사업의 경우 부가가치가 소프트웨어개발에 있다"며
기업에 설계 시스템 종합등 소프트웨어기술을 이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
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현대정공은 "그룹간 제휴등을 통해 기업들이 자유경쟁 할 수 있는 체제를
처음부터 마련해야한다"고 강조했다.

한라중공업은 "항공우주연구소의 계획안에 따를 방침"이라고 밝히고
"그러나 업계에 설계 시스템 종합기술을 이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