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99년부터 5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반도체 컴퓨터 철강 건설장비등 12개
산업분야 93개품목(HS4단위기준)의 관세가 폐지된다. 또 화학제품(1백93개
품목)과 과학장비(17개)및 기타비철금속등 2백11개품목의 관세율이 현행 평
균8.9%에서 0-8%수준으로 내리게 된다.

16일 재무부는 3백4개 공산품의 관세율을 이같이 폐지 또는 인하하는 내용
의 우루과이라운드(UR)공산품관세부문 최종양허계획을 확정하고 94년2월15
일까지 스위스 제네바의 GATT(관세무역일반협정)사무국에 제출할 예정이라
고 발표했다.

최종양허안은 <>관세를 없애는 무관세화 품목이 철강 34개,건설장비 10개,
의료기기 11개,전자 9개,비철금속 6개등 93개 <>관세율을 0-8%로 내리는 관
세조화(하향평준화)품목이 화학제품 1백93개,과학장비 17개,기타비철금속 1
개등 2백11개이다.

이는 지난달19일 정부가 최종안으로 발표했던 것보다 관세철폐품목은 전자
(반도체등9개) 종이(6개)완구(5개)비철금속(6개)등 33개,관세조화품목은 과
학장비(17개)화학(1개)등 19개를 포함해 모두 52개품목이 늘어난 수준이다.

이에따라 한국이 UR에 관세철폐및 인하를 양허한 품목은 총대상품목 9천43
개중(HS10단위기준)8천1백42개(")에 달해 양허범위는 90%에 달하고 평균관
세율은 UR협상이 시작된 지난86년(17.9%)보다 54.3% 낮은 8.2%로 떨어지게
된다. 무관세화품목은 UR협정이 발효돼 세계무역기구(WTO)가 출범한 이후 5
-10년의 이행기간을 거쳐 관세를 철폐해야 하며 관세조화품목의 이행기간은
5-15년등이서 실제로 관세가 없어지거나 관세율이 인하되는 것은 오는99년1
월부터이다.

재무부는 이번 관세협상에서 이같은 양허안을 제시하면서 미국 EC(유럽공
동체)일본등에 섬유 신발 양식기 가죽제품등 총9백54개품목에 대해 관세인
하를 요청,93%인 8백88개품목의 관세철폐및 인하를 얻어냈다고 덧붙였다.

특히 일본에 대해 폴리프로필렌 여행용가방 여자용블라우스등 16개품목에
대해 관세인하를 요청해 견직물과 운동화2종등 3개품목을 제외한 13개품목
의 관세율을 현행13.6%에서 9.2%로 32.6%인하할 것을 약속받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