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는 15일 박윤흔환경처장관을 출석시킨 가운데 보사위를 열고 낙동
강 수질오염사태의 원인과 정부의 책임을 집중추궁하고 낙동강을 포함한
전국5대강의 식수원에 대한 여야의원들은 이날 회의에서 이번 사태가 정
부의 무사안일한 자세가 빚은 `관재''라고 규정한뒤 새로운 환경대책을
내놓기 앞서 환경에 대한 근본적인 의식의 전환을 촉구했다.
민자당의원들은 "아직까지 이번 사태의 원인조차파악하지 못할정도로
현행환경행정은 업무처리능력이 한계점에 왔다"며 "범정부적인 차원에서
환경행정의 체계적인 정비와 예산의 획기적인 확보방안이 강구돼야한다"
고 지적했다.
민주당의원들은 "정부의 늦장대응이 사태를 더욱 악화시켰다"며 "민주
당자체조사결과 낙동강에는 지금까지 검출된 암모니아성 질소나 벤젠이
외에도 제3의 유독물질이 포함돼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여야의원들은 특히 "이미 지난해 1월부터 암모니아성 질소가 음용수기준
치인 0.5ppm을 초과한 상태에서 수돗물을 계속 공급해왔을 가능성이 있다"
며 이에대한 진상을 밝힐 것을 요구했다.
야당의원들은 특히 "부산 덕산등 2곳의 정수장에서 암모니아성분에 대
한 보사부와 부산시의 측정결과가 각각 2~3배이상 차이가 나는 것은 사
건을 축소하기 위한 것이 아니냐"고 의혹을 제기했다.
박장관은 답변에서 "일반직 공무원으로 운영되고 있는 하수처리장등 환경
기초시설과 정수장 관리체계를 전문인력에 의한 기업형태로 전환하는 방안
을 검토중"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