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년이후 항만적체로 인한 사회적 비용 손실액이 2조원을 넘어서 이
부문에 대한 집중투자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해운항만청에 따르면 90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간 국내 주요 항만및
배후시설의 부족으로 발생한 직간접 비용 손실액이 총 2조3천7백33억원에
이른 것으로 집계됐다.
이중 순수 항만시설 부족에 따른 체선 체화로 인한 국제경쟁력및
대외신뢰도 저하와 시간가치등을 계산한 간접비용 손실액이 전체의 86%인
2조 4백16억원을 차지,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체선료만을 계산한
직접비용 손실액은 3천3백17억원으로 14%를 차지했다.
연도별 총손실액을 보면 지난 91년이 8천2백39억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90년에 7천억원,92년과 93년에는 각각 4천3백7억원과 4천1백87억원이
발생했다.
항만별로는 물동량이 가장 많은 수도권의 인천항이 적체현상도 가장 심해
90년부터 93년까지 4년간 1조3천9백96억원의 직간접 손실비용을
발생시키는등 전체 손실액의 59%를 차지했다.
다음은 부산항으로 5천5백29억원(23%)을 기록했다. 이에비해 군산항을
포함한 기타항은 4년간 4천2백8억원만을 발생시켜 적체현상이 비교적 덜한
것으로 평가됐다.
인천항의 경우 90년부터 93년까지 4년간 연평균 체선이 1천5백48척에
이르러 평균체선율(체선선박/입항선박)이 48%를 웃돌았으며 평균체선일도
4일이상을 기록했다.
부산항은 이보다 덜해 4년간 년평균 9백75척이 체선했으며 평균체선율이
8%에 머물렀으나 일본 대만등 경쟁국들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운항만청 관계자는 "올해는 국내 주요항만의 시설확장공사로 적체현상이
다소 해소돼 비용손실액이 약간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나 큰폭의 감소는
아직 어려운 실정"이라고 전망했다.
정부는 올해 4천4억5천1백만원의 예산을 항만건설에 투자할 계획이나
관계자들은 2천년까지 매년 7천억원 가량의 예산이 확보돼야 경쟁국 수준의
항만시설을 갖출 수 있을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