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삼대통령의 인사풍토 쇄신 의지가 금융계를 강타하고 있다.

김대통령이 1일 박재윤 경제수석을 통해 금융계의 청탁인사를 철저히
배격하라고 지시한 것은 그가 취임초부터 강조해온 인사의 공공성과
자율성이 아직도 정착되지않고 있다는것이 전제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따라서 오는20~23일 사이에 몰려있는 은행들의 주총인사는 물론 보험
증권업계등 전금융기관의 향후 인사에 적잖은 영향이 미칠것으로 보인다.

사실 금융기관의 경우 그동안 인사에서 소위 "힘"과 "빽"이 가장 확실하게
통하는 곳으로 알려져왔었다.

공공성이 강한탓에 업무의 자율화가 미진한 금융기관으로서는 정부나
권력의 눈치를 살피지않을수 없는 속성 때문이었다. 은행의 뚜렷한 주인이
없는점도 외부청탁을 불러오는 요인이라 할수있다.

이에따라 그동안 금융기관 인사철만되면 숱한 줄이 동원되고 이로인한
잡음또한 끊이지않고 이어져 왔었다.

김대통령은 이런 금융기관인사의 문제점을 의식,이미 지난해 4월 은행장
인사의 자율화를 단행했다. 작년11월에는 금융단체장 인사에도 정부가 개입
하지 않을 것임을 천명하며 이를계기로 금융기관의 관행화된 인사청탁의
배격을 강력히 지시했었다.

그러나 이런 조치에도 불구 최근 주총을 앞둔 은행인사와 관련,소위
실력자들의 청탁관행은 사라지지않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장영자
파문으로 행장을 비롯 많은 임원들을 새로 선출해야할 서울신탁은행과
동화은행의 인사를 둘러싸고는 구구한 억측과 소문이 양산되기도 했다.

이와관련 박경제수석은 "이런 상황에서는 개방을 눈앞에 둔 우리 금융기관
들이 도저히 경쟁력을 가질수 없다는 것이 대통령의 이날 지시의 배경"
이라고 설명했다.

인사청탁의 심각성에 대해서는 최근 홍재형재무부장관도 사석에서 "아직도
인사와 관련 청탁을 넣는 사람이 있다"는 발언을 한적이 있다. 또 얼마전
에는 은행감독원장이 대출등과 관련,청탁을 하는 사람에 대해 명단공개의
필요성을 내비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금융관계자들은 요즘의 인사관련 청탁은 주로 정치권에서 이루어지고
있다고 말한다. 특히 새정부들어 힘을 얻은 민주계인사나 김대통령의
가신그룹측에서 적지않은 청탁이 들어오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들의 인사청탁의 대상은 비단 금융기관뿐만이 아니라는 설명이기도
하다. 국영기업체를 비롯 심지어는 일반기업등에도 관청을 동원한 인사
청탁이 새정부 출범후 날이갈수록 늘어나고있어 관련 장관들이나 기관장
들을 고민스럽게 한다는 설명이다.

이런점을 감안할때 김대통령의 이날 금융계인사관련 발언은 여러가지
함축적인 뜻을 내포하고 있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다시말해 최근 인사
청탁을 하는 주대상인 정치권에 대한 경고의 의미도 다분히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달중 주총을 열어 행장을 새로 선출하는 은행은 상업 제일 신한 하나
보람 경기 충청 경남등에 서울신탁과 동화은행을 포함 모두 10개에 이른다.
임기만료된 임원을 포함하면 1백명에 가까운 금융인이 자리바꿈을 할것으로
보인다. 김대통령의 이날 지시가 이번 주총에서 어떤 바람을 일으킬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기웅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