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그대로 거품(bubble)현상이라고도 불리운다.

거품이란 실체는 없으면서도 겉으로는 크게 부풀어 오르는 성격이 있다.
이같은 거품의 특성을 경제현상에 빗대어 표현한 말이다.

다시말해 투자 생산등 실물경제의 활발한 움직임이 없는데도 물가가 오르고
부동산 투기가 심해지고 증권시장이 과열되는등 돈의 흐름이 활발해 지는
현상을 말한다.겉으로 보기에는 일반적인 경기과열과 비슷하지만 돈이 생산
적인 기업으로 몰리지않고 투기나 사치성 소비부문에 몰리는 것이 특징이다.

버블현상을 투기적버블(speculative bubble)이라고 부르는 것도 이같은
이유때문이다.

경제에 버블현상이 일어나게되면 일시적으로 경제가 활기를 띠는 것처럼
보이나 실제로는 기업생산이 위축되고 이에따라 국민경제 전체적인 부도
축적되지 않는다.

최근 설비투자가 그다지 활발하지 않은데도 물가가 잇달아 오르고 증시가
과열조짐을 보이고 있는데다 부동산경기마저 서서히 살아나고 있어 신버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