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7개국(G7) 주도시대는 지속될것인가.
지역경제블럭의 잇따른 탄생,우루과이라운드(UR)협상의 매듭,선진국
경제력의 약화등 모든 경제여건이 빠른 속도로 변해가자 지난 86년 결성된
이후 세계경제질서를 주도해온 G7의 위상이 흔들릴수밖에 없을것이란 관측
이 강해지고 있다. G7의 영향력 약화는 물론 그 무용론까지 흘러나오고있는
분위기다.

이는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지가 최신호에서 보도한 "새로운 경제질서,
G7이 뒤처지고 있다"란 기사에서도 잘드러난다. 이신문은 G7이 더이상
세계경제를 이끌어 나갈 수 없는 이유로 회원국들의 경제력 퇴조를 들고
있다. 중남미와 아시아국가들은 높은 경제성장을 지속해가는 반면 서유럽
국가와 일본경제는 위축되는 대조적인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설명이다.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등 서유럽국가들의 올 경제성장률은 평균 1% 수준에
그칠 전망이다. 이들국가중 경제 사정이 다소 나아질것으로 보이는 영국의
올 예상 성장률도 2.5%에 불과하다.

엥도수에즈은행의 수석경제연구원인 크리스토퍼 포츠씨는 "유럽이 일본
처럼 산업구조를 과감히 재편하지않는한 90년대는 유럽인에게 최악의
나날이 될것"이라고 우려했다.

엄청난 무역흑자를 활용,G7의 기둥역할을 해온 일본 경제도 큰혼란을 겪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올 일본 경제성장률을 0.5% 수준으로
보고있다. 일본이 경제회복을위해 새해들어 엔화 약세를 유도하고있으나
미국이 반대입장을 표명,그입지를 보다 어렵게 하고있다.

키신저위원회 사무총장인 앨런 스토가씨는 "일본경제는 그 효율성을 상실
했으며 내수기반도 취약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나아가 일본경제의
붕괴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반면 중국은 두자리수의 성장을 하고
있으며 멕시코 칠레 아르헨티나등 중남미국가의 성장속도도 빨라지고있다.

다시말해 G7이 과거처럼 세계경제를 끌어갈만한 힘은 갈수록 약화되고
있다는 얘기다.

미국의 정책변화도 G7을 약화시키는 또다른 요인이라고 이신문은 지적하고
있다. G7 회원국의 경제가 바닥을 치고있는 지금 미국이 선진국주도 외교
정책을 포기하고 나서면서 이 기구의 무력화를 가속화시키고 있다는 분석을
깔고 있다.

실제로 클린턴행정부는 미국 외교정책의 무게중심을 과거 서유럽우선에서
벗어나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과 아.태경제협력체(APEC)로 옮기고있다.

냉전종식과 함께 미국의 외교정책의 초점이 정치문제에서 경제문제로
발빠르게 옮겨가고있음을 보여주고있는것이다.

그 대표적인 예가 미국의 중국에 대한 접근이다. 중국경제가 급성장,
구매력이 높아지자 지난 89년 천안문사건등에서 보여준 중국의 인권침해
문제는 관심밖의 일이되고 말았다. 미보잉사의 비행기 생산물량중 6분의1을
중국이 구입하자 클린턴 행정부는 오는 6월로 끝나는 중국에 대한 최혜국
대우(MFN)를 연장해줄 방침이다.

미국은 소말리아 보스니아 하이티등 구매능력이 없는 나라에 대한 관심은
이미 약해질대로 약해졌다.

미국은 이제 서유럽국가들과 협력,세계 경제및 정치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한국 중국등 동아시아국가나 멕시코와 손을 보다 굳게 잡고 경제력을
강화하는데 전력하고있다.

독일등 다른 G7회원국들도 마찬가지 입장이다. 헬무트 콜 독일총리가
지난해 11월 북경으로 날아가 40억달러 상당의 구매주문을 받아온것이 그
단적인 예이다.

결국 세계문제의 해결사 역할보다는 자국 이익을 우선하는 "실용주의적"
사고가 G7의 결속을 약화시키고있는것이다.

<김영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