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오는 10월말까지 2010년을 겨냥한 장기 과학기술발전계획을 수립
내년부터 본격시행에 나서기로했다.

16일 과기처에 따르면 오는 6월말까지 정보 전자 기계 재료등 기술관련
8개부문과 투자 인력 지원등 4개정책지원부문에 대한 종합적인 장기비젼
발전계획의 초안을 마련 관계자 공청회와 "종합과학기술심의회"의결을 거쳐
10월말까지 확정키로했다.

과기처는 이를위해 현재 2억원의 조사연구비를 들여 각 부문별로 전문가
50-1백명을 투입 장기발전계획초안을 마련하고 있다.

과기처가 마련중인 이계획은 95년-98년을 1단계 99년-2001년까지를 2단계
2001-2010년까지를 3단계로 구분 각단계별로 발전계획을 제시하게 된다.

정부가 이같은 장기비젼계획을 마련하고 있는 것은 과학기술이 주도하게될
미래사회에 주도적으로 대비하고 UR등 세계질서가 경쟁체제로 재편됨에따라
과학기술부문에서의 종합대응전략이 필요하기때문이다.

또 우리경제가 개발도상국모형에서 선진국모형으로 기술은 모방모형에서
자발적 기술혁신 모형으로 이행됨에 따라 이같은 전환기적 요구에 대응키
위해서이다.

이 장기 발전계획은 국가발전을 구현하기 위한 전략계획으로 활용키위해
체계적인 기술분류와 전문적인 중.장기 기술을 예측, 이 결과를 토대로
활용성이 높은 기술을 집중 육성케 된다.

과기처는 98년까지의 1단계계획에대해서는 구체저인 실행계획을 작성하면
2-3단계획에 대해서는 전망과 방향제시 차원에서 작성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