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김문권기자]

부산의 대형 제조업체들이 이전 압력을 받고 있어 지역경제계에서는
이대로 부산에서 제조업을 할 수 있느냐는 회의가 일고 있다.

특히 부산시는 산업구조고도화를 외치며 녹산공단 조성등에 나서고 있으나
기존업체들을 도심에 있다는 이유로 이전을 강요하는등 시가 이전을 부채질
하고 있는 정책의 이중성을 보이고 있다.

공장이전이 최근 재거론되고 있는 기업은 지역경제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대우자동차와 동국제강등.

대우자동차는 이달초 부산 버스공장의 군산 대우종합자동차단지로 이전
한다는 계획을 노조가 적극 반대해 한동안 조업중단 사태까지 벌어졌다.

그러나 대우자동차 공장이전의 내면적인 이유는 도시계획과 부산시의 무언
의 이전압력 때문으로 알려졌다.

버스공장 가운데로 도로가 관통할 예정으로 도시계획집행은 1년전에 통보
하므로 1년안에 공장이전을 할 수 없어 미리 이전을 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이다.

시도 이기회에 인근 주민들의 반대가 심하다며 신규 부지를 마련해
주기는 커녕 나가줄 것을 은근히 바래기도.

노사마찰로 당장의 이전은 보류하기는 했으나 부산인근에 이전한다는데
합의해 조만간 떠날 예정이다.

공해업체로 불리는 동국제강도 이전 압력에 시달리고 있다. 신규투자가
시급한데도 시가 공장의 증설은 물론 설비개체까지 허용하지 않는 바람에
투자를 2년째 하지못해 일부 라인의 가동이 중단된 상태다.

여기에다 인근 남천동 주민들이 시에 진정서를 내는등 이전의 압력이 가중
되자 포항에 3천억원을 투자해 공장을 신설한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동국은 이곳에 대규모 아파트단지를 세울 것을 조심스레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회사의 근로자는 모두 2천4백여명이며 년간 급여만 4백억원대에
이르고 있다. 협력업체 및 하청업체를 포함할 경우 부산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한편 지난 90년부터 지난해까지 시외로 이전한 제조업체는 모두 3백
96개사에 이른다.

지역상공인들은 시가 도심내 공장의 이전만을 요구할 것이 아니라
이들 업체들이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감안 최대한 도심내에서
생산을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 최대공약수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결같이 지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