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동금리부채권(FRN)의 발행이 원활히 이뤄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를
편입할수 있는 간접투자상품을 개발하는등 다양한 수요개발책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23일 대우경제연구소는 정부가 금년 하반기중 허용키로한 FRN이 유동성
부족으로 투자수요가 부족하기 쉽기 때문에 기관의 상품편입수요등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대신증권도 시장상황에 따라 콜옵션(투자자에 대해 조기매도를 청구할수
있는 권리)이나 풋옵션(발행기업에 대해 조기매수를 청구할수 있는 권리)을
부가하는등 발행유형을 다양화해 소화를 촉진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
했다.

이같은 의견은 기관투자가들이 FRN에 대해 시장기반취약과 가격산정의
문제등으로 환금성이 떨어질 것을 우려하면서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한 채권발행담당자는 "FRN이 은행신탁등 고정금리중심으로 돼있는 다양한
금융상품들의 운용과 평가를 복잡하게 만들기 때문에 기관들이 꺼리고
있다"며 "최근 인기를 끌면서 발행이 늘고 있는 전환사채의 경우도 시장
기반이 여전히 취약한 상태이기 때문에 하루평균거래가 서너건에 불과한
실정인 것을 보면 FRN도 수요개발이 가장 큰 문제"라고 밝혔다.

반면에 기업들은 향후 금리하락이 기대되는데다 자금운용자들이 책임을
회피할수 있다는 이유로 금리변동에 따른 위험을 줄일수 있는 FRN발행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김성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