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 민영화와 관련, 참여사들에 대한 성토가 잇따르고 있다. 참여회사
들에 대한 성토만이 아니다. 참여사들끼리도 설전이 무성하다. 매수경쟁
에서 다소 불리한 일부는 연고권을 방패막이로 내세웠다.

중기업종에 맞는 공기업은 중소기업들에게 돌려줘야 경제력 집중이 덜
될 것이란 주장도 동원됐다. 인수경쟁은 해당 공기업의 성장성과 수익성,
자산가치등에서 비롯된다.

지분을 통해 공기업에 대한 영향력을 갖는 것이 새로 시장에 진출하는
비용에 비해 훨씬 싸다는 이점도 무척 큰 메리트이다.

인수한 공기업의 경영권에 정부가 간여하지 않는다면,다시말해 주인있는
민영화가 될 경우 민간기업이 공기업의 경영효율성을 살리기는 쉽다.

그만큼 실적 호전이 빠를 수 있다는 것이다. 참여예상 업체들의 인수경쟁
이 치열할 것으로 보이는 공기업들은 대부분 이 범주에 속해 있다.

정부가 공기업 지분 매각방법을 공개경쟁입찰로 한데는 이같은 상황에서
매각가치를 최대화하려는 배경이 있다는 지적이다. 때문에 매수여력이
작아 경쟁력이 다소 처지는 기업들은 공개경쟁입찰이 불합리한 제도라며
대응하고 있다.

이들 공기업을 인수한 기업과 그렇지 못한 기업은 차이가 분명해져 미래
승부가 불을 보듯 뻔한 것은 당연하다. 벌써부터 참여예상 기업들이 물밑
움직임을 보이는 것은 이때문이다.

이와는 반대로 주인이 나서지 않아 문제가 되는 공기업도 있다. 계속된
입찰에도 임자가 나서지 않아 유찰만 거듭하고 있는 내장산관광호텔을
들수 있다.

따라서 98년 공기업민영화가 완전히 끝날때 까지는 보완돼야 할 점도
많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