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리는 시공 설계와 더불어 건설업을 지탱하는 3대 축의 하나다.

이 3대축의 하나인 감리용역분야는 아직 걸음마단계이다.

우리나라에 본격적인 전문감리제도가 도입된 것은 불과 4년전이다.

86년8월 독립기념관 화재사건을 계기로 전문감리의 필요성이 대두됐고 이를
계기로 90년에야 민간전문감리제도가 도입됐던 것이다.

그동안 감리업체들은 그 흔한 협회조차 구성하지 못한채 지내오다가 올해
겨우 한국감리협회 명판을 내걸었다.

현재 건설부에 등록된 감리업체는 토목감리업체가 37개, 건축감리업체가
93개, 종합감리업체가 43개로 모두 1백73개에 지나지 않는다.

면허발급수가 2천3백13개에 이른 시공분야나 2천7백여개를 헤아리는 설계
업계와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

그나마 선진국수준의 경쟁력을 갖춘 전문업체는 현대 대우 동아 쌍용
엔지니어링등 대기업그룹소속 엔지니어링업체와 도화종합기술 삼우기술단
유신설계공단등 10여개 밖에 안된다.

이들도 주력인 설계분야로 영업을 지탱하고 있는 정도이고 순수 감리만
으로 회사를 꾸려나가는 업체는 올해 건설부의 지시로 설립된 토개공 주공
도공산하 감리공단정도이다.

시장규모도 올해 책임감리(50억원이상 관공사)분야를 기준으로 할 경우
2천5백90억원에 불과한 실정이다.

민간감리분야까지 합쳐도 3천5백억원을 넘지 않는다.

시장규모가 GNP의 15%에 이르고 제조업 금융업 다음의 규모를 자랑하는
전체건설시장규모와 비교할때 감리업계는 기형적일 정도로 영세한 실정이다.

감리업계가 이렇게 낙후된 것은 60대부터 국내건설산업을 주도해온 관공사
과정에서 감리업무를 전적으로 공무원들이 담당해 왔기 때문이다.

민간감리업체가 동원되긴 했지만 오직 보조 역할만 했을 뿐이었다. 시공과
설계는 민간에 맡기면서도 감리감독은 발주관청의 전유물로 착각했던
것이다.

분당 일산 신도시공사의 경우 부실이 발생하기전엔 민간감리원에게 평당
1천5백원의 감리비만을 지불했을 정도로 민간감리는 형식적으로 이뤄졌다.

감리분야는 개발경제 초기부터 관공사에서 배제되는 바람에 육성발전될
기회를 잃어버렸던 것이다.

이로인해 시공분야는 국내의 도로 댐 항만등 관공사에서 실력을 다질수
있었고 해외건설을 통해 세계적인 수준으로 성장했는데도 감리분야는 지난
30년동안 걸음마단계를 벗어나지 못했던 것이다.

시공분야를 견제할 감리분야가 낙후됨으로써 시공업체들이 공사를 마음대로
주무를 수밖에 없었고 이런 관행이 고질적으로 굳어져 버렸다.

결국 전문적인 공사감독없이 시공된 공사는 구조적으로 "부실소지"를
안고 있을 수 밖에 없었다.

92년말 창선대교 신행주대교의 붕괴, 청주우암아파트 붕괴사고, 구포열차
전복사고등이 잇따르자 뒤늦게 "민간전문감리"의 필요성이 대두됐던 것이다.

이제 감리업계는 영세성탈피 전문인력확보 기술고도화 시장개방에 따른
국제화감각배양등 해결해야할 수많은 난제들을 동시에 해결하도록 요구받고
있다.

앞으로 감리업계는 전문화 대형화추세를 보이면서 업체들의 부침이 극심
해질 것이 틀림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