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건설산업은 지금 격변기를 맞고 있다. ''국제화, 개방화''란 밖에서부터
의 도전을 이겨내야 하고 안으론 ''부실''의 대명사로 인식되고 있는 업계
이미지를 떨쳐버려야 하는 이중과제를 안고 있다. 나라밖에서 새로 열리는
시장을 개척해야 하는 것도 우리업계의 과제이면서 기회이기도 하다.
----------------------------------------------------------------------

한국건설업계가 일찍이 경험해 보지못했던 열린시장에서의 경쟁은 새로운
도약의 발판이기도 하다.

세계최대의 시장인 일본에 들어가는 것도 시간문제다. 중국과 러시아
베트남시장은 우리의 새로운 도전의 장이 되고있다. 시장이 달라지면
시장의 주인공인 기업도 변해야 한다.

이제 바뀌는 시장을 놓고 우리업계가 적응하기에 따라 "기회가 될 수도
시련이 될 수도"있다.

우루과이라운드와 정부조달협정타결로 민간건설시장의 경우 외국업체의
1백% 단독투자가 올부터 가능케됐다.

벡텔 필립홀츠만 같은 세계적인 건설회사들의 깃발이 서울의 공사현장에
등장할 날이 멀지 않았다는 얘기다.

공공시장의 경우 중앙정부는 약 53억원이상, 투자기관및 지자체는 1백
60억원이상 공사를 97년부터 개방토록 일정이 잡혀있다.

정부는 PQ제(입찰자격사전심사제)및 턴키와 대안방식의 공사발주를 확대
하고 건설업체들의 설계감리능력을 확충, 종합건설능력등을 배양시킬 방침
이다. 국내건설업의 관행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형태로 바꿔 나가는
것이다.

그동안 국내업체만을 상대해온 관공사발주기관들도 국제계약관리능력과
분쟁조정능력등 국제적인 관행에 적응하기 위한 변신노력을 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

면허제도 입찰방식 감리제도등 해방이후 우리식으로 굳어온 건설업관련
제도의 전반적인 개편이 불가피해졌고 이미 단계적으로 진행중이다.

이는 지난해부터 통치권차원에서 추진중인 "건설부실방지대책"과도 맞물려
있다.

정부는 부실문제가 국내 건설업관련제도의 낙후에서 비롯된 부분이 많다고
보고 있다. 부실대책차원에서 이뤄지는 제도개혁은 UR협상이후 개방대책과도
맥락을 같이한다.

이때문에 개방파고와 부실에 대응하기 위한 제도개편은 동일선상에서
이뤄질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에따라 과거 우리관행에 따라 다져진 업계의 판도변화도 시간문제이다.

최근들어 대형업체와 중소업체간의 갈등이 커지고 시공업체와 설계업체간의
반목이 심화되는 등 건설업계가 소용돌이에 휘말려 있는 것도 이때문이다.

정부의 정책전환은 사안에 따라 시간문제일뿐 이미 그 대세는 정해졌다.

이제 업체 스스로의 변신여부에 따라 국내건설업의 장래가 좌우될 것이다.

구조적으로 건설시장의 장래는 밝다.

나라안팎이 모두 그렇다.

우루과이라운드타결이후 그동안 닫혔던 시장들이 속속 열리고 있다.

국가중심에서 권역중심.지역중심의 경제체제가 등장하면서 "편리하고
쾌적한 비즈니스공간의 창출이 경쟁력의 요체"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따라 나라마다 지금 첨단도시공간의 창조와 효율적인 인프라의 구축에
심혈을 쏟고 있다. 이같은 세계경제조류의 변화는 필연적으로 "건설산업의
이노베이션"을 요구하게 마련이다.

멀지않아 하이테크로 무장한 새로운 건설산업의 지평이 열리게 되고 다른
첨단기술산업및 정보통신산업등과 융합되어 복합적이고 종합적인 형태로
발전될 것이 틀림없다.

건설산업은 이같은 산업간 복합화를 선도할 임무를 띠고 있다. 우리 건설
산업은 이제 시공 감리 설계등 고전적인 업무영역에서 벗어나 종합산업으로
도약할 출발선에 서있다.

<이동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