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지하철파업에 동조해 27일부터 전국 1백개 사업장에서 동시다발로
벌이려던 전국노조대표자회의(전노대)의 연대파업기도가 대부분 사업장
노조가 외면함으로써 불발로 끝났다.

전노대의 투쟁중심사업장 가운데 현대그룹노조총연합(현총련) 대우그룹
노조협의회(대노협) 전국노조협의회(전노협)등의 산하단위노조들 가운데
지금까지 파업을 벌여온 14개 사업장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동시파업일정
을 따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14개사업장도 노동부에 의해 투쟁성이 그리 강하지 않은 업체로 분류되는
곳이다.

이는 결국 전기협의 투쟁강도에 맞춰 전국적인 투쟁수위를 조절하려던
전노대의 전략이 일선 단위노조의 실정을 감안하지 않은 무리수였음을
보여준 셈이다.

>>> 배 경 <<<

전노대의 투쟁결정에도 불구하고 이처럼 현장사업장에서 ''전의''가 일지
않고 있는 이유는 여러측면에서 찾을 수 있다.

우선 동조파업을 해봐야 여론의 질타만을 받고 임금인상등 실리를 얻기는
힘들다는 것을 근로자들이 인식했기 때문이라는 것이 노동부의 분석이다.

철도,지하철이 파업에 들어가 산업전체가 마비위기에 처해있는 상태에서
민간사업장노조까지 여기에 가세할 경우 국민들의 비난을 한몸에 받을 것은
뻔하고 그렇게 되면 올해 임금협상도 어려워진다는 것을 근로자들이 잘알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연대파업을 할 경우 제3자개입혐의등으로 주동자를 구속수사키로
하는등 정부가 강경대응하겠다고 맞서 대기업노조들이 분위기상 위축되어
있다는 분석이다.

노동부는 이미 26일 비상긴급대책회의에서 "노조가 아무리 적법한 절차를
거쳐 파업을 강행했더라도 노동쟁의조정법상 목적이 정당하지 않고 정치성을
띤 불법쟁의행위로 간주, 관련자들을 처벌키로 하겠다"고 경고했다.

또 회사측의 달라진 노사관도 이번 연대파업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최근 많은 제조업 사업장에서는 회사측이 예전과 달리 근로자들을 국가
경제를 책임지는 경제주체로 인식하는 동시에 회사를 걸머지고 갈 영원한
동반자로 인식하고 있다.

이를바탕으로 근로자들도 회사측에 대한 무조건적인 불신의 벽을 허물고
진정한 협상파트너로 인식하는등 노사양측모두가 대립과 반목관계를 청산
하고 서로를 인정하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현장사업장에서 연대파업의 조짐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현대중공업이 27일 부분파업을 벌인데 이어 앞으로 몇차례 더 투쟁을 벌일
예정이고 기아자동차, 한진중공업등 전통적으로 강성인 사업장의 협상도
결코 순탄치만은 않은 실정이다.

>>> 동 향 / 전 망 <<<

전노대 산하 단위노조들은 이날 대부분 연대파업에 동참하지 않고 지금
까지의 일정대로 협상을 벌였다.

이날 파업을 벌인곳은 14개에 불과하며 그나마도 이들 사업장이 전노대의
연대파업일정에 시기를 맞춘 것이 아니라 전에부터 파업을 벌여온 곳들이다.

연대파업에 동참했다고 볼수있는 사업장은 현대중공업 한진중공업노조 등
4곳 정도.

현대중공업노조는 지난25일 오전10시부터 20분간 1천4백명이 부분파업을
벌였고 28일 6시간 부분파업에 이어 29일부터 전면파업에 들어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