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업체들이 특허, 상표 등 산업재산권을 해외에서 보호받기 위한
해외출원을 크게 늘리고 있다.

29일 관련업계 및 변리사회에 따르면 우리 기업의 시장이 확대되면서
외국업체에 의한 상표및 기술도용이 적지않게 발생함에 따라 우리
기업들도 앞다퉈 외국에 산업재산권을 출원하고 있다.

대한변리사회가 집계한 통계에 따르면 국내 변리사들이 해외출원을
대행한 건수는 지난 91년만해도 총 1천2백75건이었는데 이것이 지난해
에는 총 3천5백64건으로 2년새 세배가까이 늘었다.

산재권을 해외에 출원하는 또다른 루트인 특허협력조약(PCT)을 통한
해외출원역시 90년의 24건에서 93년 1백27건으로 크게 늘었다.

이밖에 일부 대기업이 자체변리사를 통해 해외에 출원하거나 외국변리사
를 대리인으로 고용, 해외에 출원하는 경우도 종전보다 늘었다고 업계는
밝혔다.

특히 이기간중 해외출원이 가장 많이 늘어난 산재권은 상표로 상표는
지난 91년에는 해외출원건수가 3백99건에 불과했으나 93년에는 1천3백
32건으로 3백34%나 증가했다.

상표의 해외출원이 이처럼 크게 는 것은 이기간중 고유상표의 개발이
활발했고 중국, 중남미등에서 우리나라상표에 대한 침해가 빈번히 발생,
기업들이 외국에서의 상표등록을 서둘렀기 때문이다.

특허도 7백71건에서 1천9백92건으로 크게 늘었는데 특히 반도체의 해외
특허출원이 88년이후 연평균 30%가까이 증가,6년만에 거의 4배로 늘었다.

이 분야는 기술개발자체가 활발한데다 "필요한 외국특허기술을 도입하기
위한 크로스라이센스수단으로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업계의 지적재산권
담당자는 밝혔다.

한편 국내업계가 산업재산권을 많이 출원하는 국가는 일본, 미국, 독일
순이었으나 지난해에는 미국이 1위로 올라서고 일본에 이어 중국이 3위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