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젠가 수업하러 교실에 들어갔을 때다. 학생 한 명이 보이지 않아 물었다. “아무개는 오늘 안 왔니?” 며칠째 학교에 안 온다는 대답 이후 아이들 간 대화가 오갔다. “시험을 왜 봤나 몰라” “수학 50점이래” “학원도 안 다녀” 등등. 자신들은 그 친구와는 다르다며 선을 긋는 얘기들이었다. 듣다가 “학원 안 다니는 게 어때서?”라고 짧은 질문을 던졌다.근무 중인 학교 학생 상당수가 방과 후 학원으로 직행했다가 밤 10시가 넘어 집에 들어간다. 이 문화에 적응하면 ‘우리’, 그렇지 않으면 ‘이방인’이 되는 걸까. 그 세상이 전부가 돼 구분 짓기가 생겨나는 건 아닐까. 요즘 청소년은 내가 어떤 사람인지, 내가 진정 원하는 가치는 무엇인지, 무얼 위해 살아가는지, 어떤 일이 내게 맞을지 생각할 여유가 없다.사교육 중심지로 꼽히는 서울 목동에서는 흔한 풍경이다. 눈앞에 있는 시험, 이를 위한 학원 숙제, 매일 수학 시험과 영어 단어 200개 시험을 통과해야만 집에 돌아갈 수 있다. 초등 의대반이 이젠 더 내려와 유아 의대반까지 생겼다. 간혹 저출생으로 학령인구가 줄었으니 예전에 비해 대학 가기가 수월해지지 않았느냐고 묻는 분도 있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 느끼는 입시 경쟁은 날이 갈수록 격해진다.루이스 캐럴의 소설 <거울 나라의 앨리스>에 보면 붉은 여왕이 앨리스의 손을 잡고 달리는 장면이 나온다. 앨리스는 숨이 헉헉 차오를 정도로 뛰는데 제자리다. 보통 뛰고 있으면 보이는 배경은 내게서 멀어지게 마련 아닌가. 의아해하는 앨리스에게 붉은 여왕이 말한다. “여기서는 같은 곳에 있으려면 쉬지 않고 힘껏 달려야 해. 다른 데로
내 친구 중에는 회사에서 격월마다 실시하는 주말 등산이 싫어서 퇴사한 사람이 있다. 이 이야기를 들으면 두 가지 반응이 떠오를 것이다. 하나는 ‘뭐 그런 것 때문에 퇴사를 하냐’는 핀잔이고, 다른 하나는 ‘뭐 그런 회사가 다 있냐’는 비판이다. 사실 나 역시 2002년 월드컵 때 한국 축구팀을 열심히 응원했지만, 대강당에 모여 빨간 티셔츠를 입고서 한 사람도 빠짐없이 응원에 참여해야만 했던 단체활동은 내키지 않았다.그 뒤로도 10여 년은 족히 넘게, 이 회사든 저 회사든 매해 “등산을 가자”는 말은 빠지지 않았다. 2015년 무렵까지 등산하면 첫 번째 떠오르는 단어가 ‘단합’, 두 번째가 ‘건강’, 세 번째가 ‘막걸리’(또는 오이)였다. 복잡한 심경을 끌어내는 등산을, 둘레길 산책이나마 내가 자발적으로 나서고, 요즘 건강을 신경 쓰는 20대는 ‘자발적으로’ 등산을 간다고 한다. 서로 다른 뜻으로 세월이 무색하다. 젊은 친구들도 단합 등반을 알기나 할까? 약수를 떠먹는 바가지는?어느새 산은 나의 일상에 끊임없이 존재하고 있다. 어린이대공원의 우거진 숲길을 걸으며 퇴근할 때면, 내 머릿속에도 수많은 산이 지나가는 기분이 든다. 책장에서 읽지 않은 책만큼이나 이 공간의 여기저기 존재하는 산, 산, 산. 마터호른이 황금빛으로 빛나는 사진을 떼어 벽에 걸어 두었을 때 사무실의 칙칙한 회색 칸막이가 금세 숨 쉴 만한 창문처럼 느껴졌다. 아무리 작아진 달력이라도 산 그림은 빠지지 않고 들어간다. 한글에서 ‘산’이라는 글자마저 상형문자처럼 보일 정도로 산은 우리 일상에 깊이 박혀 있는 존재다.산이 너무 좋아서 주체할 수 없어 책
오스트리아의 큰손 컬렉터 루돌프 레오폴트는 27세 청년이던 1953년 3만실링이라는 거금을 주고 그림 한 점을 샀다. 촉망받는 의대생이 학업은 뒷전이고 화랑가나 경매장을 기웃거리는 모습이 답답했던 부모가 졸업 선물로 약속한 폭스바겐 비틀 차 한 대 가격이 3만실링이었다. 졸업 선물을 마다하고 대신 품에 안은 그림은 에곤 실레의 ‘은둔자들’. 당시만 해도 실레는 28세에 요절하기까지 우울과 불안이 잔뜩 묻은 초상과 망측한 누드 드로잉이나 남긴 별 볼 일 없는 외설 화가였다. 괴짜 취급을 받았지만 레오폴트는 이 순간이 미술사를 다시 쓰는 결정적 분기점이 될 것이라고 확신했다.레오폴트와 실레의 만남은 반세기에 걸쳐 씨줄과 날줄처럼 엮여 20세기 미술사의 한 페이지를 펼쳐냈다. 이날 이후 레오폴트는 어느 집 벽장이나 지하실에 버려져 있던 실레의 작품을 하나하나 찾아냈다. 돈으로 환산하기 힘든 220여 점의 ‘실레 컬렉션’이 이렇게 완성됐다. 실레가 그린 작품들은 구스타프 클림트와 함께 19세기 근대사회에서 20세기 현대사회로 넘어오는 문턱에서 화려하게 불타오른 ‘빈 모더니즘’의 정수로 재평가받는다.예리한 안목과 과감한 투자만이 레오폴트를 ‘위대한 수집가’로 만든 건 아니다. 그는 걸작들을 수장고에 꼭꼭 숨기는 대신 대중과 공유했다. 1994년 당시 5억7000만유로로 평가되던 실레 컬렉션을 비롯한 소장품 5200여 점을 시세의 3분의 1 수준인 1억6000만유로에 정부가 매입하도록 했다. 헐값이나 다름없는 가격에 작품을 넘긴 대가로 바란 건 자신의 이름을 딴 미술관의 종신 관장으로 미술 애호가들과 시간을 보내는 것뿐이었다.레오폴트 같은 수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