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고속철도 중앙역사로 서울역을 선정한 정부안은 서울의 공간구조와
교통측면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아 입지가 수정돼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4일 명지대 교통과학기술연구센터와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주최로 세종문화
회관에서 열린 수도권 교통개발전략세미나에서 시정개발연구원의 원제무박
사(도시교통연구부장)는 "중앙역을 서울역으로,분산역을 일직역으로 선정하
고 서울구간을 지상노선으로 결정한 정부안은 여러가지 문제점을 안고있다"
고 전제,"시민의 교통편의와 도시개발측면에서 용산역이 중앙역사입지로 적
절하다"고 밝혔다.

또 고속철도노선이 통일시 전국토에 대한 철도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서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X자형 골격을 형성,용산역을 중앙역사로 하고 석계
(동서및 경원선)구로(호남선)수색(경의선)양재(경부고속철도)등 4곳에 분산
역을 입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원박사는 경부고속철도의 용산역입지는 영등포와 영동부도심의 중간에 위치
해 도심집중의 단핵도심구조를 다핵구조로 개편할 기회를 제공할뿐아니라 도
심기능을 보완하는 시설집중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와함께 용산역은 장차 지하철7개노선이 통과하고 내부순환고속도로가
인접해 광역교통연계 체계수립시 서울역보다 유리하며 충분한 직선구간확보
가 가능해 서울역보다 선형조건도 양호하다고 밝혔다.

원박사는 서울역을 중앙역으로 하는 정부안에 대해 21세기 통일시대의 고
속철도 역사기능을 수행하기에는 시설및 용량의 한계가 있을뿐아니라 개발
이익(4천억원)보다 추가 교통시설설치에 따른 소요비용(1조원)등 사회적 손
실이 막대하다고 지적했다.

(한국경제신문 1994년 11월 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