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은 동지"..팥죽으로 축귀의식 치러/친척.이웃과 화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2일은 일년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다고 알려진 동짓날.
동지는 24절후중 22번째로 태양이 적도 이남 23.5도의 동지선 즉,
남회귀선에 도달하는 때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상대대로 이날 팥을 삶고 찹쌀로 새알을 만들어 넣어
끓인 팥죽을 먹었다.
한해가 저물어가는 시기에 찾아오는 동짓날을 맞아 가족들이 한자리에
모여 팥죽을 쑤어 먹으며 지난 1년을 돌이켜보는 것이 어떨까.
예로부터 전해오는 동짓날풍속을 문화재관리국 산하 예능민속연구실의
도움말로 알아본다.
민간에서는 동지를 아세 즉, 작은 설이라 하여 설 다음가는 명절로 대접
했는데 "동지를 지나야 한살 더 먹는다" 또는 "동지 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한살 더 먹는다"는 말도 여기서 유래한다.
동지 팥죽은 먼저 사당에 놓아 차례를 지낸 다음 방.마루.광 등에 한
그릇씩 놓은 뒤 대문이나 벽에다 숟가락으로 뿌리고 난 뒤에 먹는다.
사당에 놓는 것은 천신숭배의 뜻이고 집안 곳곳에 놓는 것은 축귀의 힘이
있다고 믿었기 때문.
붉은 팥은 옛날부터 요사스런 귀신을 물리치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믿어져
왔다.
설날과 동지를 가장 으뜸가는 명절로 여긴 궁중에서는 동지가 되면 군신과
왕세자가 모여 잔치를 하는 회례연이 베풀어 졌고 해마다 중국에 예물을
갖춘 동지사를 파견했으며 지방의 관원들은 나라에 길흉사가 있을 때 써
올리던 글인 전문을 임금께 올렸다.
관상감에서는 다음해의 역서를 만들어 궁중에 바치고 임금은 이 역서에
옥새를 찍어 나누어 주었다.
동짓날에는 부적으로 "사"자를 써서 벽이나 기둥에 거꾸로 붙이면 악귀가
들어오지 못한다고 믿었다.
또 이날 일기가 온화하면 다음해에 질병이 많아 여러 사람이 죽는다고
하며 눈이 많이 오고 날씨가 추우면 풍년이 들 징조라고 한다.
이외에도 동짓날 연못의 얼음이 언 것으로 풍흉을 점치기도 하는데 이것을
용갈이(용경)라 한다.
남북으로 줄이 있으면 다음 해에 풍년이 들고 동서로 줄이 있으면 흉년이
들며 동서남북 모두 줄이 있으면 평년작이라 믿었다.
형편이 어려운 백성들은 이날 모든 빚을 청산하고 새로운 기분으로 하루를
즐겼다.
또 일가친척이나 이웃간에는 서로 화합하고 어려운 일은 서로 마음을
열고 풀어 해결한 날이 동짓날이었다.
오늘날 연말이면 불우이웃돕기가 펼쳐지는 것도 동짓날의 전통이 전해진
것으로 추측된다.
(한국경제신문 1994년 12월 22일자).
동지는 24절후중 22번째로 태양이 적도 이남 23.5도의 동지선 즉,
남회귀선에 도달하는 때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상대대로 이날 팥을 삶고 찹쌀로 새알을 만들어 넣어
끓인 팥죽을 먹었다.
한해가 저물어가는 시기에 찾아오는 동짓날을 맞아 가족들이 한자리에
모여 팥죽을 쑤어 먹으며 지난 1년을 돌이켜보는 것이 어떨까.
예로부터 전해오는 동짓날풍속을 문화재관리국 산하 예능민속연구실의
도움말로 알아본다.
민간에서는 동지를 아세 즉, 작은 설이라 하여 설 다음가는 명절로 대접
했는데 "동지를 지나야 한살 더 먹는다" 또는 "동지 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한살 더 먹는다"는 말도 여기서 유래한다.
동지 팥죽은 먼저 사당에 놓아 차례를 지낸 다음 방.마루.광 등에 한
그릇씩 놓은 뒤 대문이나 벽에다 숟가락으로 뿌리고 난 뒤에 먹는다.
사당에 놓는 것은 천신숭배의 뜻이고 집안 곳곳에 놓는 것은 축귀의 힘이
있다고 믿었기 때문.
붉은 팥은 옛날부터 요사스런 귀신을 물리치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믿어져
왔다.
설날과 동지를 가장 으뜸가는 명절로 여긴 궁중에서는 동지가 되면 군신과
왕세자가 모여 잔치를 하는 회례연이 베풀어 졌고 해마다 중국에 예물을
갖춘 동지사를 파견했으며 지방의 관원들은 나라에 길흉사가 있을 때 써
올리던 글인 전문을 임금께 올렸다.
관상감에서는 다음해의 역서를 만들어 궁중에 바치고 임금은 이 역서에
옥새를 찍어 나누어 주었다.
동짓날에는 부적으로 "사"자를 써서 벽이나 기둥에 거꾸로 붙이면 악귀가
들어오지 못한다고 믿었다.
또 이날 일기가 온화하면 다음해에 질병이 많아 여러 사람이 죽는다고
하며 눈이 많이 오고 날씨가 추우면 풍년이 들 징조라고 한다.
이외에도 동짓날 연못의 얼음이 언 것으로 풍흉을 점치기도 하는데 이것을
용갈이(용경)라 한다.
남북으로 줄이 있으면 다음 해에 풍년이 들고 동서로 줄이 있으면 흉년이
들며 동서남북 모두 줄이 있으면 평년작이라 믿었다.
형편이 어려운 백성들은 이날 모든 빚을 청산하고 새로운 기분으로 하루를
즐겼다.
또 일가친척이나 이웃간에는 서로 화합하고 어려운 일은 서로 마음을
열고 풀어 해결한 날이 동짓날이었다.
오늘날 연말이면 불우이웃돕기가 펼쳐지는 것도 동짓날의 전통이 전해진
것으로 추측된다.
(한국경제신문 1994년 12월 2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