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은평구 불광동을 비롯 양재 공항 구의등 43개 지구중심이 상업지역
으로 신규 지정되고 약수 도봉 홍은 당산등 51개 생활권중심지역이 준주거
지역으로 바뀐다.

또 서울도심과 신촌 청량리 영등포역부근 영동 잠실등 5개 부도심권 일부
지역이 일반상업지역에서 중심상업지역으로 변경돼 앞으로 용적률 1천2백%
까지 건물을 지을수 있게 된다.

서울시는 26일 오는 2000년을 목표로 지난90년부터 서울22개 자치구에서
마련한 "구단위도시기본계획"안을 확정하고 내년1월 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받는대로 시행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현재 준주거 또는 일반주거지역인 용산구 한남, 성동구 중곡
구의, 은평구 연신 불광, 마포구 서교 합정등 43개 지구중심이 일반상업
지역으로 신규 지정돼 용적률이 기존 2백~4백%에서 최고 1천%까지 상향
조정된다.

또 중구 약수, 성동구 건대, 동대문 신이문 신설동, 서대문구 홍은
충정로, 도봉구 도봉 쌍문등 84개 생활권중심지역이 준주거지역으로
변경돼 용적률이 2백~4백%에서 6백%로 조정된다.

시는 이와함께 연희동등 서울시내 22개 전용주거지역중 이태원동 연희동
능동 군자동및 영동 대현국교부근등 5곳은 일부를, 영동지역의 도산공원
충현교회 한국은행 국기원주변 4곳은 전용주거지역을 전부 해제, 제1종
일반주거지역으로 변경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종로구 구기 팽창동등 나머지 13개 전용주거지역은 현행대로
존치키로 했다.

시는 지구중심과 생활권중심의 경우 상업및 준주거지역 결정시 도시설계
지구 또는 상세계획구역으로 동시에 지정할 방침이어서 용도변경에 따른
해당주민들의 개발이익은 계획수립후 상당한 시일이 지나야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번 구단위도시기본계획은 상업지역의 확대및 준주거지역으로의
변경을 극히 제한하려던 당초 방침에서 크게 후퇴, 앞으로 지역간 균형개발
을 도외시한 란개발이 이뤄질 것으로 우려된다.

(한국경제신문 1994년 12월 27일자).